퇴계상제례답문분류 ()

목차
관련 정보
퇴계상제례답문분류
퇴계상제례답문분류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이황이 상례 · 제례에 대하여 제자들과 문답한 내용을 초록한 예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이황이 상례 · 제례에 대하여 제자들과 문답한 내용을 초록한 예서.
내용

1책. 필사본. 입사당(立祠堂)·개제체천(改題遞遷)·거가잡의(居家雜儀)와 상례로 습구(襲具)·소대렴(小大斂)·국상(國喪)·거상잡의(居喪雜儀)가 있고, 제례로는 시제(時祭)·묘제(墓祭)·잡기(雜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이밖에 간년 미상의 목판본 2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영인, 발간한 『퇴계전서』에는 ‘상제례답문’이라는 명칭으로 따로 된 것은 없고, 다만 이황의 제자들인 김성일(金誠一)·정유일(鄭惟一)·김부륜(金富倫)·우성전(禹性傳)·이덕홍(李德弘)·김명일(金明一)·임영(林泳)·문위세(文緯世)·정사성(鄭士誠)·유운룡(柳雲龍)·구봉령(具鳳齡) 등의 저술 속에 들어 있는 것 중에서 상례와 제례에 대한 것을 발췌, 수록한 것인데, 모두 서신으로 문답한 것들이다.

다만, 기존 예제(禮制)에만 의존하여 강론하였거나 해석상의 문제점만을 다룬 것이 아니고 예서에 없는 것으로서 상제(喪祭)에 임하였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어려운 것이나, 예서에 있다 하더라도 실정에 맞지 않고, 또 시행하기가 곤란한 점들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