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대비 ()

목차
근대사
제도
조선시대 현왕(現王)의 할머니이며 전전왕(前前王)의 왕비였던 여성을 높여서 부르던 호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현왕(現王)의 할머니이며 전전왕(前前王)의 왕비였던 여성을 높여서 부르던 호칭.
내용

또는 대비를 높여서 대왕대비라 부르기도 했다. 왕조에서 황제체제를 취하고 있을 경우 황제의 정부인을 황후(皇后)라 했는데, 명나라에 대해 제후국을 자처한 조선에서는 황후 대신 왕비(王妃)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왕비는 왕의 정부인으로서 위로는 조상을 받들고 아래로는 백성들의 국모로 역할했다. 왕비의 손자가 왕위에 오르면서 세자빈(世子嬪)으로 있던 손주며느리가 왕비(王妃)가 되면, 왕의 할아버지의 왕비는 대왕대비(大王大妃)가 된다.

대왕대비는 큰 왕대비로서 왕대비의 윗분이라는 의미이다.

조선시대에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여성의 수명이 남성보다 길었으므로, 대체로 왕이 왕비보다 일찍 사망했다. 이 결과 조선왕조 500년 거의 모든 시기에 대비가 존재했으며, 심한 경우에는 대비 위에 왕대비, 대왕대비가 존재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조선시대의 대왕대비는 왕실의 최고어른으로서 정치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았다. 우선 후계왕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왕이 갑자기 사망했을 때는 대왕대비가 후계자 지명권을 가졌다. 후계왕이 어리면 수렴청정(垂簾聽政)하여 왕조의 실제적인 군주로 군림했다.

또한 대왕대비는 자신의 친정을 후원하는 배후세력이 됨으로써 외척세도의 실세 노릇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대체로 왕이 대비의 친생자가 아닐 경우에 특히 더했다.

대왕대비가 있다는 것은 그 아래로 왕대비, 대비가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왕은 층층시하에서 고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 외척세도정치 시기에는 대왕대비들이 즐비하여 정치현실을 좌우함으로써 왕이 무력화되기도 했다.

참고문헌

『춘관지(春官誌)』
『문헌통고(文獻通考)』
『예종실록(睿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선조실록(宣祖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헌종실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국조어첩(國朝御牒)』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