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정구협회 ()

체육
단체
국내 정구경기의 보급과 발전을 도모하고, 이를 관장하는 경기단체.
정의
국내 정구경기의 보급과 발전을 도모하고, 이를 관장하는 경기단체.
개설

정구(여기는 테니스 성격이 짙음)의 처음 이름은 ‘척구(擲球)’라고 하였다. 우리나라 처음 도입시기는 많은 설이 있으나 그 중에 개화기의 청년정치가 김옥균(金玉均)에 의하여 1883년 일본에서 도입되었다는 설에 따른다. 수신사 일행을 수행하여 도일한 선생은 개화 문명의 길을 걷고 있는 일본을 보고 경응의숙(慶應義孰)에서 복택유길(福澤諭吉)의 권유로 시기(試技)한 뒤 용구 일체를 지참하여 귀국하였다.

화동사저(전 경기고등학교 자리)와 탁지부(전경제기획원 자리)에 코트를 닦고 외교관들을 상대로 경기를 한 기록이 있다. 이때 이름을 척구라 하였다. 우리 고유의 척서(擲栖)라는 윷놀이에서 딴 ‘공 던지기’라는 의미이다. 이때에는 물론 테니스(Lawn tennis, 경식정구)였고, 일본에서 연식화(軟式化)되기 2년 전 일이다.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 공식적으로 정부에 언급된 것은 1885년 러시아 공사관에서 위로차 어전 테니스 경기가 벌어졌는데 “저런 땀흘리는 일을 하인배에게 시킬 일이지.”라고 고종 황제는 냉담한 반응을 표시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당시의 지도층의 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일화로 처음 테니스는 외교관 교제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시대는 노동(勞動)과 스포츠(Sports)가 동일시되는 시기였기도 하다.

정구의 종주국인 일본의 공식적인 기록으로는 미국인 체육교사 리란드가 일본 근대 체육교육의 본 고장인 체조 강습소(동경고사의 전신) 교사로 부임해 올 때 테니스 용구를 지참, 지도하였다고 되어 있다. 이때 리란드의 통역을 맡고 있던 평내(坪內)는 1884년 용구 수입 난을 해소키 위하여 고무공을 사용하였으니, 즉 우리 연식정구의 기원 원년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던 것이 1895년에 대만에, 그리고 1905년에는 조선에도 정구가 상륙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정구 전례는 1876년 병자수호조약 이후 개방된 부산, 인천, 원산 3개 항구 도시에 서양교육 형태의 소학교, 상업학교가 생기게 되고 자연 정구의 발생지가 되었다.

1905년 러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이 통감부(統監府)를 설치하고 내정 간섭을 하게 되었다. 이에 한성(지금의 서울)에도 일본 관헌(官憲)이 점차 늘어났고, 우리 정부에도 고문(顧問)이라는 명목의 실권자가 배치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정구 전수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은행회사와 각 학교가 신설(한성사범, 한성고보, 선린상업)되고 곳곳에 코트가 생긴 것이다. 그리하여 정구의 기원은 공식적으로는 ‘1905년’이다.

그리고 공식적으로 조직을 결성한 것은 1908년 4월 18일 지금의 재무부에 해당하는 탁지부(度支部)의 일반 관리들이 친목을 위한 회동구락부(會洞俱樂部) 일명 관인구락부를 조직, 바둑 · 장기 · 궁사(弓射) · 정구 등의 시설을 갖추고 이듬해 5월 2일 미창동(米倉洞)정구 코트에서 여흥식경기회(餘興式競技會)를 개최한 것이 정구 경기 대회의 시조이다.

이때 여흥(餘興)이란 지금의 스포츠를 뜻하는 말인데 일종의 노름(여흥의 본 뜻)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들은 봄 · 가을 2회에 걸쳐 정구대회를 실시하였다.

1910년에는 농상공부의 직원들도 성계구락부(星溪俱樂部)를 만들었고, 기록상 최초의 공식경기는 1911년 10월 25일에 있었다. ① 용산철도정구부 추계대회 철도 코트 (1911년 10월 25일):왜성구락부(倭城俱樂部) · 한국은행 · 영림창(營林廠) · 동양척식회사, 일삼공은행, 총독부 중학교, 동양협회 등이 참가.

② 제1회 경룡(京龍) 정구대회 경성일보 주최로 1911년 11월 5일 청산 코트에서 경성일보사가 우승기를 제공하여 개최함으로써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여 크고 작은 대회가 정기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때 용산철도군 우승.

③ 경성보이스의 창립과 대회 경성선수 중심(용산 외)으로 1912년 3월 2일 제1회 대회를 개최하고 매월 개최 연 12회의 대회를 개최, 본격적으로 정구대회가 활기를 띠기 시작하였다.

정구가 1905년 이후로 번성하게 된 이유는 우리도 일본처럼 개화를 하자는 욕구가 충만하였던 것이 스포츠에 표현이 되었던 것이다. 학교 제도의 확립으로 교사의 지도를 통한 보급이 중추가 되어 신문화의 일종으로 스포츠는 청년층에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일본에 호응을 하자는 것은 아니었다. 우리 민족의 지식의 생산지였던 오산학교(五山學校)를 위시하여 이때 전국 각지에 상당수 설립되었던 소중(小中)학교나 전문학교가 모두 정구를 채택하였다. 당시 가장 탄압 받고 반일 운동이 강성하였던 평안북도를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정구에 대한 열의를 가지고 있었다.

심지어 대구에서는 당시 영남에서 유명한 반일 청년 운동가였던 서상일(徐相日, 조양청년회 회장)이 대회 주최까지 하였다. 그 밖에 개신교, 장로교 및 YMCA, 불교계에서도 전국 각지에 학교를 설립하면서 정구를 채택하였다.

1916년에는 경성의 17개 군소 정구단체가 전경성 정구구락부를 조직하였고, 1921년 10월의 제1회 전조선정구대회는 청년단 9개 팀, 중학 8개 팀이 참가하는 대성황을 이루었다.

제8회 암스텔담 올림픽이 개최된 해인 1920년 5월에 정구 단체의 시초인 조선정구협회 창립되었다.

1921년 10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동아일보 후원으로 반일적인 도시로 이름난 개성의 진성고진 코트에서 ‘우리 민족의 손으로 이룬 첫 대회’로 역사적 의의를 가지면서 9개 팀이 참가한 청년단과 8개 팀이 참가한 중학단이 모여서 매년 실시하였다.

1923년 6월 30일에 정동 제일고여(第一高女, 현재의 경기여고) 코트에서 개최된 전국여자정구대회(동아일보 주최)는 당시 경성 인구가 25만 명 중에 2만 명이 관전하는 대성황의 경기였고, 사회여건상 남성금기 하에 이루어지니 더욱 관심을 끌었다.

많은 기관 사회 단체들의 영향으로 다시금 1933년에 조선연식정구연맹이 발족 되어 제1회 전조선연식정구선수권대회를 개최하였는데, 이 대회는 중등부 · 전문부 · 일반부로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같은 해 10월 일본에서 열린 제7회 메이지신궁대회(明治神宮大會)에 출전하여 전문부에 보성전문학교의 천계근 · 노병익 조가 일본의 주오대학(中央大學)을 결승에서 4:0으로 이겨 우승하였고, 일반부 조선팀이 일본 대판팀을 4:1로 이겨 각각 우승하였다.

또한 1934년 8월 동경에서 개최된 전일본정구대회 중등부 · 일반부에서 우승하였고, 이듬해 8월 전 일본 선발군이 내방하여 전경성군(全京城軍)과 대전하여 다시 우리나라가 우승하였다. 이어 1935년 10월의 제8회 메이지신궁대회부터 제13회까지 우승하는 등 연 10년을 계속 제패하여 정구 종주국인 일본을 각성케하고 더불어 민족항일기의 암울한 시대에 일본의 땅에서 일본을 압도 조선인의 힘을 보여준 기회가 되어 우리 민족의 역량을 드높였다.

그러나, 초기의 우리나라 정구는 큰 활기를 띠었으나, 1942년 일제의 구기경기폐지정책으로 광복 때까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지금까지 해방전의 한국 정구 사를 통상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대한정구협회 발생 ‘우리 정구’ 참조).

  1. 초창기 1905년-1919년:도입과 뿌리 형성기

  2. 정착기 1920년-1930년:확대기

  3. 개화기 1931년-1945년:성숙기

드디어 광복과 함께 1945년 10월 조선정구협회가 새로이 조직되고 산하에 연식부와 경식부(테니스)를 둠으로써 새롭게 출발하였다. 1948년 8월 정부수립으로 조선연식정구협회를 대한연식정구협회로 개칭하고, 1948년 9월에 대한체육회에 가맹을 하였다.

1953년 9월에 대한테니스협회와 완전 분리하였고, 1955년 7월 26일 아시아정구연맹에 가입하였다. 아시아 연맹이 결성되자 한국, 일본, 대만 3국을 중심으로 1956년 10월에 중화대북, 대북시에서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1973년 9월 한국, 대전에서 개최된 제9회 대회까지 2년 주기로 아시아정구대회를 개최하여 아시아 지역에 정구를 홍보, 보급시키는데 비중을 두었다.

그러던 것이 좀더 세계적인 단체를 구성하여 정구를 널리 보급할 목적으로 1974년 10월에 아시아연맹를 해체하고 10월 12일에 세계연식정구연맹을 결정하게 되어 창립 회원국으로 가입하였다(북한은 1992년 9월에 회원국으로 가입).

미국 하와이에서 개최된 1975년 제1회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단체전에서 여자부 우승, 남자부 준우승, 개인전에도 여자부가 복식 1위, 2위를 차지하면서, 그 뒤 2년마다 열리는 이 대회에서 계속 상위의 성적을 올렸다.

협회는 1962년 9월 서울, 제4회 대회, 1967년 9월 제6회, 마지막 대회인 1973년 대전에서 개최된 제9회 대회 등 3건의 아시아선수권대회와 1979년 8월 대구에서 개최된 제3회 대회, 1987년 8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7회 대회, 1991년 서울에서 개최된 제9회 대회 등 3건의 세계선수권대회를 개최하는 등 정구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1988년 2월 6일에 아시아연맹 재 창립되자 회원국이 되었다.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한 노력으로 고 조정순(趙貞順) 회장(1994년 작고)을 중심으로 협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국제 대회 유치 및 국제연맹 회장으로 취임(1987년)하면서 중흥에 나섰다.

1989년 1월에 침체된 정구를 다시 중흥시키기 위한 발판으로 명칭을 테니스와 분리된 개념인 ‘대한정구협회’로 명칭을 개칭하면서 영문으로는 “Korea Soft Tennis Association(약칭 K.S.T.A)”이라 하며 사무소를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륜동 88번지에 둠을 명시하였다.

설립목적

설립 목적을 정구 경기를 국민에게 널리 보급하여 국민체력 향상에 이바지하고, 건전하고 명랑한 사회기풍을 진작시킴과 아울러 정구인 및 그 단체를 통할 지도하고 우수한 정구인을 양성하여 국위선양을 도모하며 국민체육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두었다.

기능과 역할

협회는 설립 목적을 위하여 ① 정구 경기에 관한 기본방침의 결정, ② 국제경기대회의 개최 및 참가, ③ 회원으로 가입한 단체의 지도감독 및 지원, ④ 정구 경기대회의 개최 및 주관, ⑤ 지도자 육성 및 선수의 양성, ⑥ 정구 경기 기술의 연구 및 향상에 관한 사업, ⑦ 정구 경기 시설에 관한 연구와 설치관리 및 공인, ⑧ 정구에 관한 자료수집 및 조사통계, ⑨ 정구 경기에 관한 기록 공인, ⑩ 정구를 건전한 국민체육으로 보급하기 위한 홍보, 계몽 및 정구지 발간, ⑪ 정구 용품과 용구에 대한 알선 및 사후 점검, ⑫ 기타 본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등을 실행하는 것을 두고 있다.

현황

조직은 기구로서 16개 시 · 도 대표자, 5개 전국연맹체 대표자, 중앙대의원 3인을 합쳐 24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대의원 총회와 회장 1인, 부회장 4인, 전무이사 1인 이사 15명, 감사 2인 등 모두 23명의 선임 임원으로 구성된 이사회, 그리고 사무국이 있다.

그 밖에 고문 8명, 참여 10명 등이 위촉 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하 단체로는 한국중 · 고연맹, 한국대학연맹, 한국실업연맹, 한국여자연맹, 한국장년연맹이 있다. 그리고 이사회의 자문 기구로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① 상벌 위원회, ② 선수강화 위원회, ③ 선수 자격 심의 위원회, ④ 기술 위원회, ⑤ 국제분과 위원회, ⑥ 편집 위원회, ⑦ 경기 용품 공인 심의 위원회 등의 분과 위원회를 두고 있다.

1999년 말 현재 협회에 등록된 팀 수는 317개이고, 등록선수는 약 3,500명에 이른다. 협회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륜동 올림픽회관 안에 있다.

국내 주요 대회로는 회장배 전국정구대회(2000년 현재 21회), 대통령기 전국정구대회(38회), 전국여자정구대회(78회), 국무총리기 전국정구대회(36회), 전국 도시대항정구대회(45회), 전국 남녀 중 · 고교 정구대회(36회) 등 협회가 주최, 주관하는 대회와 전국소년체육대회, 전국체육대회 등을 포함 18개 대회와 각 종 선발전을 합쳐 년 22여 건의 국내 대회를 개최 중에 있다.

제 1대 황명원(黃明源) 1945년-1946년

주요 국제대회를 돌아보면, 1991년 9월 서울 잠실펜싱경기장에서 세계 16개국이 참가한 제9회 세계정구선수권대회에서 남자 단체전(이석우, 장한섭 등)에서 우승, 여자단체 준우승(권재현, 박순정 등), 남자 개인복식(이석우, 장한섭)에서 선수가 1위, 그리고 복식 3위를 차지하는 등 종합 우승을 차지하였다.

1992년 10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아시아 17개국이 참가한 제2회 아시아정구선수권대회에서 남자 단체 3위, 여자 단체 3위, 남자 개인복식에서(이명구, 서정철) 1위를 차지하였다. 이때 처음으로 단식경기가 시범으로 실시하여 여자부에서 전순화 선수가 1위를 차지하였다.

1993년 5월 중국 상해에서 개최된 제1회 동아시아경기대회에서 시범 종목으로 단체전만 실시되어 남자, 여자 모두 우승을 차지하였다. 1994년 10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14개국이 참가한 제12회 아시아 경기대회에서 남자 단체 준우승(장한섭, 유영동 등), 여자 단체 우승(박영아, 박순정 등), 남자 복식 1위(이명구, 유영동), 2위 그리고 여자부 개인복식 2위를 획득하였다.

1995년 10월 일본 기후시에서 세계 28개국이 참가한 제10회 세계정구선수권대회에서 남자 단체 준우승, 여자 우승(김경자, 윤선경 등), 개인복식에서 남자가 3위, 여자가 1위(박영아, 박순정)을 차지하였고 단식에서는 남자가 1위(장한섭), 여자가 3위를 차지하였다. 1996년 11월 태국 방콕에서 18개국이 참가한 제3회 아시아정구선수권대회에서 남자 단체 우승(이명구, 유영동 등), 여자우승(김경자, 윤선경)을 차지하였고, 복식에서는 남자가 2위, 여자가 3위, 그리고 단식은 남자 1위(이명구), 역시 여자 1위(김경자)를 차지하였다.

1997년 5월에 우리나라 부산에서 개최된 제2회 동아시아경기대회에서 김승섭, 유영동, 강지숙, 윤선경 선수 등의 우리 선수단이 정구 역사상 유래가 없는 전 종목에 금메달을 획득하는 경이적인 기록을 낳았다. 1998년 12월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제13회 아시아경기대회에서도 남자 단체 우승(김희수, 전인수 등), 여자 단체 우승(윤선경, 이미화 등)을 차지하였고, 개인 복식에서도 남자 3위, 여자 1위(강지숙, 이미경)을 차지하였다.

1999년 12월 중화대북 대북시에서 개최된 제11회 세계정구선수권대회에서는 남자 단체 준우승, 여자 단체 준우승, 남자 개인복식 3위, 여자 개인복식 3위, 남자 개인단식 1위(김경한)을 획득하였다.

현재 아시아정구연맹은 아시아 주요 국가가 회원국으로 약 30개 국이 회원국으로 일본의 카이후 도시키(전 일본 총리)가 회장으로 아시아 정구 발전에 기여를 하고 있다.

국제정구연맹은 미국, 호주, 이탈리아, 러시아 등의 서구 국가를 포함하여 61개국의 회원국을 두고 있으며 1994년 7월, 우리나라 정구계의 대모인 고 조정순(趙貞順) 회장의 뒤를 이어 취임한 박상하 회장이 서울에서 개최된 국제정구연맹 임시 총회에서 국제정구연맹 회장으로 선임되었고 1999년 5월 11일 서울에서 개최된 제18차 국제정구연맹 총회에서 제12대 회장으로 박상하 현 회장(현 대한정구협회 제19대 회장)이 재임되고 임원을 개편하여 21세기 정구의 약진을 꾀하기 위한 장기적인 목표를 세웠다.

1999년 10월에 적극적인 정구 홍보를 위하여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하였고, 2008년 올림픽 대회에서 정구 종목이 열릴 수 있도록 전 세계 정구인의 소망인 올림픽 인정 종목 채택을 위해 준비중이고 1993년 10월에 현재 IOC(국제올림픽 위원회)와 세계 양대 스포츠 기구인 GAISF(국제경기총연맹 Gener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에 회원으로 가입을 하여 국제 각 스포츠 단체와 협력 및 교류를 하고 있다.

1908년 탁지부의 일반관리들이 결성한 회동구락부가 우리나라 연식정구단체의 효시이다. 1912년 정구선수를 총망라한 경성(京城)보이스라는 단체가 조직됨으로써 정구계의 활력소가 되었고, 이러한 단체들의 영향으로 1933년 조선연식정구연맹이 발족하였다. 같은 해 일본 동경(東京)에서 거행된 제7회 메이지신궁대회(明治神宮大會)에 선수를 파견하여 우승하였고, 그 뒤 10년 연승이라는 놀라운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1942년 일제의 구기폐지정책으로 기능이 일시 정지되었다가, 1945년 10월 조선정구협회를 새로이 조직하고, 산하에 연식부와 경식부(테니스)를 둠으로써 새 출발을 하였다. 1948년 8월 정부수립으로 조선연식정구협회를 대한연식정구협회로 개칭하고, 1955년 7월 아시아연식정구연맹에 가입하였다.

1974년 세계연식정구연맹이 결성되자 이에 가입하였다. 1975년 제1회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상위 입상하였고, 그 뒤 2년마다 열리는 이 대회에서 상위의 성적을 올렸다. 협회는 아시아선수권대회(1962·1973)와 세계선수권대회(1979·1984)를 개최하는 등 활약이 두드러졌다. 1986년 현재 협회에 등록된 팀 수는 260여 개이며, 등록선수는 약 2,500명에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체육사연구』(나현성, 교학연구사, 1981)
『한국운동경기사』(나현성, 문천사, 196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