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천집 ()

덕천속집
덕천속집
유교
문헌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성기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8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성기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58년 성기운의 문인 성구용(成九鏞)과 아들 성훈(成塤) 등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원집에는 서문·발문이 없고, 속집 권두에 권용현(權龍鉉)의 서문과 권말에 박효수(朴孝秀)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1권 5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원집 권1∼3에 서(書) 348편, 권4에 잡저 19편, 권5·6에 서(序) 28편, 기 37편, 발 12편, 명 8편, 찬 2편, 혼서(昏書) 1편, 고축(告祝) 10편, 제문 36편, 상량문 2편, 묘비명 7편, 비(碑) 15편, 권7·8에 묘갈명 49편, 묘지명 3편, 묘표 21편, 행장 5편, 전(傳) 2편, 시 142수, 속집 권상·하에 서(書) 112편, 잡저 3편, 기 2편, 제발(題跋) 2편, 명 1편, 묘갈명 9편, 묘표 8편, 묘지명 1편, 시 2수, 보유에 행장 3편, 묘지명 1편,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주로 성리(性理)·경술(經術)에 대한 논답과 세상을 걱정하고 나라를 근심하는 충정을 토로한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상간재선생(上艮齋先生)」은 전우(田愚)에게 치국에 대한 방법을 평소의 소신대로 질문해 밝힌 것이다. 우리나라에서의 정전법(井田法) 시행에 대한 지형(地形)의 적부(適否), 형법에서의 연좌법(連坐法)의 비인간성, 문벌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인재 등용의 편폐(偏弊) 등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잡저 가운데 「독서설시제생(讀書說示諸生)」에서는 허문(虛文)인 문사(文詞)에만 힘쓰는 것은 유익한 독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유익한 독서방법은 인성(人性)의 변화와 음양오행·일월성신·역수(曆數)·정전(井田)·학교·예악명물(禮樂名物)·병법·형법 등의 실용적인 것을 궁구해 융회관통(融會貫通)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신에서 치국까지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습재규약(而習齋規約)」은 서재에서 수업하는 제자들이 아침에 일어나서부터 취침할 때까지의 지켜야 할 사항들을 축조입약(逐條立約)한 것이다. 「부양재사지(扶陽齋私識)」에서는 치국의 요체로 전지제도(田地制度)·상벌·군사제도·임관·사절(使節) 등의 행정에 대해 우리나라에서의 실행성 여부와 폐단 등을 논하고, 치국의 도는 반드시 오상(五常)과 삼강(三綱)에 근본을 두어야 오랫동안 국가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도상문대(島上問對)」에서는 심성이기(心性理氣)에 대해 많은 논설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변증자료를 이끌어 논구하면서 주자설(朱子說)에 근거한 이이(李珥)의 설을 정론(定論)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구방전말(拘放顚末)」은 당시 일인의 우리 민족 말살정책에 의해 강요되던 창씨개명으로의 입적에 대해 죽기로써 항거하여, 끝내 입적하지 않고 버티다가 경찰서에 구류되어 온갖 협박과 악형에도 굴하지 않았던 모습을 일기체로 써놓은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신동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