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향사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1624년(인조 2)이괄(李适)의 난 때 군량의 보급을 위해 지방에 파견된 임시관직.
이칭
이칭
독군향어사(督軍餉使御史)
목차
정의
1624년(인조 2)이괄(李适)의 난 때 군량의 보급을 위해 지방에 파견된 임시관직.
내용

이괄의 반란군이 임진강을 건너 남하하자 충청·전라도의 병마절도사가 관할 도의 군사를 이끌고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 집결하였고, 이들 군대에 대한 군량 보급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먼저 서울의 도성민(都城民)에게서 호(戶)별로 군량을 거두다가 소요가 발생하자 그 대신 충청도에 독향사가 파견되었던 것이다.

당시 독향사의 정식 직함은 독군향어사(督軍餉使御史)였다. 독향사 외에 관향사(管餉使) 또한 충청·전라도에 파견되었으며, 독향사·관향사의 명령은 군령(軍令)에 준하였다. 독향사는 이괄의 난이 평정되자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집필자
오종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