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연활자본. 1936년 손자 기능(基能)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병로(柳秉魯)·신제하(辛濟夏)의 서문과 권말에 김교윤(金敎潤)·기능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397수, 권4에 서(書) 1편, 서(序) 1편, 기 4편, 발 3편, 제문 1편, 묘표 1편, 행장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분국서(盆菊序)」에서는 중국 진나라 도잠(陶潛)이 국화를 사랑한 연유를 언급하고, 그도 한 개의 화분 국화를 구해 책상 옆에 두고 가꾸는데 그 깨끗한 기품과 고상한 격조는 도잠의 율리(栗里)·삼경(三徑)과 흡사하다고 하였다.
기에는 「남당기(楠堂記)」·「검무실천기(檢茂實阡記)」·「서림유허기(西林遺墟記)」·「유개암기(游開巖記)」 등이 있다. 이 중 「검무실천기」는 1897년(광무 1) 고부(古阜) 검무실에 있는 7세조 덕선(德宣)의 묘소에 대한 내력을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