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의 문집인 『성호선생문집(星湖先生文集)』 권68에 실려 있다. 중국 진(晉)나라 말기 전원시인 도연명(陶淵明)의 「의고(擬古)」 9수 중 제5수 가운데에서 ‘동방일사(東方一士)’라는 넉자를 떼어서, 그것을 인격화한 우언(寓言)이다.
동방일사는 5세기초 사람으로서 동방에 은거하여 살던 사람이었는데, 팽택령(彭澤令)으로 있던 도연명이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서 그를 찾았다. 그가 살고 있는 곳은 속세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푸른 솔과 흰 구름이 있는 한적한 산림이었다.
그는 가난하여 옷은 항상 해어진 것을 입고, 밥은 한 달에 아홉 번밖에 먹지 못하였으나, 늘 밝은 얼굴을 가지고 즐겁게 생활하였다. 그는 도연명이 자기를 찾아온 것이 깊은 뜻이 있음을 짐작하고 거문고 두 곡조를 타서, 이로써 천고지사(千古志士)의 불우함을 슬퍼하였다.
그리하여 동방일사와 도연명은 막역한 지기가 되었다 한다. 이익은 이 작품 끝에서 선비가 이 세상에 나 불행한 때를 만나서 속세와 사람들을 피하여, 새와 짐승들과 벗한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라는 탄식을 덧붙이고 있다.
이 작품은 학문과 경륜을 가진 선비가 자기의 뜻을 세상에 펴지 못하고, 산림에 묻혀 지내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글은 매우 짧으나 그 속에 담겨 있는 뜻은 천고의 뜻있는 선비들의 불우함과 슬픔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