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 4권, 부록 2권, 합 6권 2책. 목활자본. 1899년에 아들 석휴(錫休)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족자(族子) 석일(錫一)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모덕사 등에 있다.
권1에 시 87수, 권2에 서(書) 39편, 권3에 제문 5편, 축문 5편, 잠(箴) 1편, 잡저 5편, 서(敍) 1편, 기(記) 3편, 발(跋) 2편, 권4에 강산차록(江山箚錄)과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 권1은 제문 7편, 만 7편, 권2는 가장·행장·묘갈명이다.
잡저 5편은 「지도론(止盜論)」·「송족제병삼서행설(送族弟昞三西行說)」·「과눌설봉정기상사우만(寡訥說奉呈奇上舍宇萬)」·「서증족질석일(書贈族姪錫一)」·「기몽설(記夢說)」이다.
「강산차록」은 16세 때에 기정진(奇正鎭)에게 수학하면서 스승의 훈회(訓誨)와 스승에게 들은 고사(故事)·고담(古談) 및 문답·견문들을 기록한 장편의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