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사우록 ()

동유사우록
동유사우록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박세채가 신라에서 조선 선조까지 유학자들의 스승과 벗의 관계를 수록한 연원록. 사우연원록.
이칭
이칭
명현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박세채가 신라에서 조선 선조까지 유학자들의 스승과 벗의 관계를 수록한 연원록. 사우연원록.
서지적 사항

37권 19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편찬/발간 경위

1682년(숙종 8)에 편집되었고, 후에 박세채의 문인인 이세환(李世瑍)이 보편(補編)하였으며, 우리나라의 명현을 수록한 책이라 하여 『명현록』이라고도 불린다. 박세채가 기술한 부분(사실상의 원본)만 수록한 『동유사우록』도 있으나, 그것은 이세환이 보편한 것과 차이가 없고, 오히려 후집(後集)과 보유(補遺)가 부가된 이 책의 내용이 더 충실하다고 할 수 있다.

박세채가 우리나라 도학사우(道學師友)의 연원이 인멸되어가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이 책을 엮게 되었다고 발문에서 강조했듯이, 이 책은 도학사(道學史)의 자료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보편자인 이세환은 박세채가 미처 다루지 못해 유감으로 생각하였던 이약동(李約東)·신상(申鏛)의 항목을 완성하고, 또 자기 나름대로 그밖의 제현들을 보충하였다.

내용

이 책은 신라 설총(薛聰)에서 조선의 성혼(成渾)과 그 문인들에 이르기까지 유학자들의 학문이 어떻게 전수되고 교류되어 왔는가를 설명한 책으로서 한국 유학, 특히 도학의 역사적 흐름에 대한 조명이 그 주된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 내용 가운데 성리학 이전의 유학자인 강수(强首)·김부식(金富軾)이 제외되었고 신숙주(申叔舟)·양성지(梁誠之)·이순신(李舜臣)·곽재우(郭再祐) 등 일반 유학자들이 빠진 것으로 보아 한국 유학사 가운데서도 성리학사 부류의 성격을 지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물의 취사선택과 선정된 인물의 호칭이 다른 것은 춘추대의(春秋大義)의 가치관에 투철한 도학정신에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의 내용 서술상 특징의 하나는 학통을 표시함에 누구의 문인임을 명기해 학자의 계보와 당론의 대립까지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또 다른 특징은 저자 자신이 주관적 저작의 형식을 철저히 피하고, 학자 개개인의 인물·학문·연원설명을 자료와 기록을 인용하며 그 출처를 밝혀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양한 자료에 의존하는 이러한 저술경향은 그 기록자체의 책임성과 기술 내용의 객관성을 높이고, 당쟁을 비롯한 정치사적 자취와 시문계(詩文界)의 흐름에 이르기까지 유교문화의 다채로운 편린을 보여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