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 일명 <조림 調臨>이라고 한다. 머리를 든다는 뜻으로 <들어내는것>이라고도 하고, 속도가 그 선행 것보다 빠르다는 뜻으로 <존자진한잎>·<소수대엽> 등으로도 불린다. 남창(男唱)과 여창(女唱)이 구별되어 있고, 우조(羽調)와 계면조(界面調)가 각각 따로 있다.
앞 곡인 <중거 中擧>와 <평거 平擧>보다도 먼저 파생된 <두거>는 음계·음역·장단·형식·사설붙임법 등에서 모두 가곡의 원곡(原曲)인 <초수대엽 初數大葉>과 동일하다. 그러나 선율은 많은 부분이 <이수대엽>과 같다. <우조두거>의 음계는 황종(黃, Eb)·태주(太, F)·중려(仲, Ab)·임종(林, Bb)·남려(南, C)의 5음음계이고, <계면조두거>의 음계는 황종·중려·임종의 3음음계이다.
장단(長短)은 10점 16박의 가곡 기본 장단을 쓰고, 5장 2여음(五章二餘音)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선율적 특징은 대체로 <이수대엽>의 그것과 같고, 우조에서는 중려와 태주를, 계면조에서는 임종과 중려를 흔히 장인(長引)한다. 한편, <이수대엽>과 다른 점은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1장의 첫 선율을 남려로 높게 질러내는 점이다. 그 밖에도 5장의 둘째 장단에서 선율이 높은 점도 특색이다.
남창 <우조두거>의 사설에는 <구름이>·<태산(泰山)이>·<녹수청산 綠水靑山> 등이 있고, <계면조두거>에는 <악양루에>·<이몸이>·<석조(夕鳥)는> 등이 있다. 한편, 여창 <우조두거>의 사설로는 <일각이>·<한숨은>·<적무인 寂無人>·<해지면>·<식불감>·<지족이면>·<녹수청산> 등이 사용되며, <계면조두거>의 사설로는 <임술지 壬戌之>·<뒷뫼에>·<천지(天地)는>·<설월(雪月)이>·<백천(百川)이>·<달뜨자> 등 6개가 사용된다.
현재 많이 불리고 있는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장) 구름이 무심탄 말이, (2장) 아마도 허랑하다. (3장) 중천에 ᄯᅥ 잇서 임의로 다니면서 (4장) 구태여 (5장) 광명한 날 빛을 덥허 무삼허리요.”
<두거> 등의 가곡은 독창(獨唱)으로만 노래하고, 거문고·피리·젓대·해금·가야금·장구 등이 합주(合奏)하여 반주한다. 한편, <우조두거>와 <계면조두거>의 반주 선율을 삼현육각(三絃六角) 편성으로 연주하는 것을 <자진한잎> 또는 <경풍년>이라고 한다. →가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