득량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득량리에 있는 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득량리에 있는 섬.
내용

동경 127°6′, 북위 34°34′에 위치한다. 도양읍 장계리 신흥마을에서 북서쪽으로 3㎞ 지점인 득량만(得粮灣) 입구에 자리잡고 있다. 소록도(小鹿島)에서는 북쪽으로 8.7㎞ 지점에 있다. 면적은 1.93㎢이고, 해안선 길이는 6.5㎞이다.

처음에는 장흥군에 속하였다가 완도군에 편입되어 완도군 득량면출장소를 관청마을에 설치하였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흥군 도양읍에 편입되면서 득량리가 되었다.

지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임진왜란 당시에 이순신 장군이 이곳에서 식량을 구했다고 하여 득량(得粮)이라는 지명이 유래하였다.”라는 설이다. 다른 하나는 “이순신 장군이 풀을 엮어 산꼭대기에 마름처럼 쌓아두고 왜군들에게 그것을 군량미로 속인데서 유래하였다.”라는 설이다. 현재에도 옛 성의 흔적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지질은 대부분 편마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기복이 비교적 큰 산지(최고 높이 223m)로 되어 있으나, 북쪽과 동남쪽 산록부(山麓部)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어 농경지로 이용된다.

해안선은 단조로운 편이고 대부분 사빈해안(沙濱海岸)이다. 남쪽 해안에는 반달 모양의 만(灣)이 형성되어 있다. 1월 평균기온은 1.4℃, 8월 평균기온은 24.8℃, 연강수량은 1,286㎜이다.

현황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11명(남 52명, 여 5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66세대이다. 취락의 분포는 북쪽 해안의 선창마을과 남동쪽 해안의 만안(灣岸)에 위치한 관청마을에 집중해 있다.

1675년(숙종 1)경 하동정씨(河東鄭氏), 1680년(숙종 6)경에 제주양씨(濟州梁氏)가 최초로 이 섬에 들어와 현재의 두 마을을 형성하였다고 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14㎢, 밭 0.64㎢, 임야 1.04㎢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보리·고구마·마늘·콩 등이 생산된다. 근해에서 멸치·바지락·낙지·굴·고막 등이 주로 어획되며, 김과 피조개 양식도 행해지고 있다.

마을 사람들이 신성시하는 당산(堂山)이 돌무더기로 축조되어 있으며, 매년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豊漁)를 축원하는 당산제를 지낸다. 교통은 도양읍 녹동항에서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참고문헌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도서백서』(전라남도, 1996)
『도서지』(내무부, 1985)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해양수산부 연안포탈(www.coast.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