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륜산 도립공원 (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 삼산면 · 북일면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지명/시설
건립 시기
1979년 12월 26일 지정
면적
32.91㎢
높이
703m
소재지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ㆍ삼산면ㆍ북일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두륜산 도립공원(頭輪山道立公園)은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삼산면·북일면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이다. 두륜산 일대의 면적 33.39㎢ 지역이 1979년 12월 26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서남해안 일대를 관망할 수 있는 산악공원으로 최남단에 위치하여 섬·바다·산악과 윤선도의 유적과 사찰 등이 어울려 다양한 관광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대흥사는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우리나라의 13번째 세계유산이 되었다.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 삼산면 · 북일면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건립 경위

두륜산 일대의 면적 33.39㎢ 지역이 1979년 12월 26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두륜산(703m)은 소백산맥의 최남단에 위치한 전라남도 해남군의 명산이며 다도해 해상국립공원과도 인접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1971년 5월 20일 두륜산 일대의 면적 0.55㎢ 지역이 교통부고시 제98호에 의해 국민 주1 지정을 시작으로, 1975년 9월 2일 문공부고시 제4호에 의해 명승지(면적 8.66㎢) 지정, 이후 면적 33.39㎢ 지역이 1979년 12월 26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18년 6월 14일 두륜산 도립공원 공원 구역 계획 변경으로 지정 면적이 32.91㎢로 소폭 감소하였다. 총 면적 32.91㎢ 중에서 자연 보존 주2 7.33㎢, 자연환경 주3 24.72㎢, 문화유산 지구 0.86㎢로 구성되어 있다.

인문 · 자연환경

원래 두륜산은 대둔사(大芚寺)의 이름을 따서 대둔산이라 칭하다가 대둔사가 해남 대흥사(大興寺)로 바뀌자 대흥산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대둔산의 명칭은 산이란 뜻의 ‘듬’에 크다는 뜻의 관형어 ‘한’이 붙어 한듬→대듬→대둔으로 변한 것으로 풀이된다. 두륜의 뜻은 산 모양이 둥글게 사방으로 둘러서 솟은 ‘둥근머리산’, 또는 날카로운 주5을 이루지 못하고 둥글넓적한 모습을 하고 있다는 데서 연유한 것이다. 또한 대둔사지에 의하면, 두륜산은 중국 곤륜산의 ‘륜’과 백두산의 ‘두’자를 딴 이름이라고도 한다.

두륜산에는 가련봉(迦蓮峰, 703m)을 비롯하여, 두륜봉(頭輪峰, 630m) · 고계봉(高髻峰, 638m) · 노승봉(능허대 685m) · 도솔봉(兜率峰, 672m) · 혈망봉(穴望峰, 379m) · 향로봉(香爐峰, 469m) · 연화봉(蓮花峰, 613m) 등 여덟 봉우리에 아홉 골짜기가 있고 여기에 아홉 개의 다리가 있어서 이를 구곡구교라 부른다.

현황

서남해안 일대를 관망할 수 있는 산악공원으로 최남단에 위치하여 섬 · 바다 · 산악과 윤선도의 유적과 사찰 등이 어울려 다양한 관광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두륜산 서사면에 자리 잡은 해남 대흥사는 신라 진흥왕 5년(514년) 아도화상이 세운 사찰로서 서산대사와도 관련이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절 안에는 표충사를 비롯하여 탑산사 동종 등 보물 4점, 천연기념물 1점과 수많은 유물들이 보존되어 있다.

해남 대흥사는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우리나라의 13번째 세계유산이 되었다.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은 경상남도 양산시의 통도사, 경상북도 영주시의 부석사, 경상북도 안동시의 봉정사, 충청북도 보은군의 법주사, 충청남도 공주시의 마곡사, 전라남도 순천시의 선암사, 전라남도 해남군의 해남 대흥사 7개 사찰로 구성되어 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 ‘7~9세기 창건 이후 현재까지의 지속성, 한국 불교의 깊은 역사성’이 세계유산 등재 조건인 탁월한 보편적 기준(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에 해당한다고 평가했다.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은 지난 2013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다. 2017년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된 이후, 1년 반 동안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심사를 받았다.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는 지난 5월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7개 산사 중 연속 유산으로서의 선정 논리 부족 등을 이유로 통도사, 부석사, 법주사, 해남 대흥사 4개 산사만을 등재할 것을 세계유산위원회에 권고한 바 있다. 이에, 문화재청(청장 김종진)과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대사 이병현), 외교부(장관 강경화)로 이루어진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 대한민국 대표단은 위원회에서 7개 산사 모두가 같이 등재될 수 있도록 세계유산 위원국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지지 교섭을 해 왔다. 그 결과, 6월 30일 오후에 있었던 등재 결정 논의 과정에서 위원국인 중국이 7개 산사 모두를 등재할 것을 제안하면서 21개 위원국 중 17개국이 공동 서명하였고, 20개 위원국이 지지 발언을 했고 전체 위원국의 지지로 성공적으로 등재되었다.

두륜산 케이블카는 천년 고찰 해남 대흥사를 비롯하여 고산 윤선도의 녹우당, 우항리 공룡화석지, 우수영 명랑대첩지, 땅끝 주4 등을 연계하는 관광 코스로 알려져 있으며, 1.6km 선로를 이용하여 초속 3.6m로 8분간(편도시간) 케이블카를 이용할 수 있다. 일일 운행시간은 09시18시, 동절기는 17시까지이다. 평상시 102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탑승객이 많으면 1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등산로는 9개 코스가 있는데, 크게 해남 대흥사 방면과 오소재 약수터 방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코스는 다음과 같다.

1코스(5.85km): 대웅전-북미륵암-오심재-노승봉-가련봉-만일재-두륜봉-진불암-표충사 2코스(5.85km): 대웅전-일지암-북미륵암-천년수-가련봉-만일재-두륜봉-진불암-표충사 3코스(4.35km): 표충사-진불암-천년수-만일재-천년수-북미륵암-대웅전 4코스(3.95km): 해남 대흥사-북암-천년수-진불암-해남 대흥사 5코스(5.45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노승봉-가련봉-만일재-두륜봉-진불암-해남 대흥사 6코스(5.1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노승봉-가련봉-만일재-두륜봉-만일재-천년수북암-오심재 7코스(5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북암-천년수-만일재-두륜봉-만일재-천년수북암-오심재 8코스(5.85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북암-천년수-만일재-두륜봉-진불암-해남 대흥사 9코스(4.75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북암-천년수-진불암-해남 대흥사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韓國)의 산지(山誌)』(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07)
『한국관광지리(韓國觀光地理)』(김홍운, 형설출판사, 1997)

인터넷 자료

두륜산도립공원(http://duryunsan.kr/)
두륜산케이블카(www.haenamcablecar.com)
해남군청(http://www.haenam.go.kr/)
한국관광공사(http://www.visitkorea.or.kr/)
주석
주1

아름다운 경치나 문화유산, 특이한 풍속 따위가 있어서 전 국민이 구경할 만한 대상이 되는 장소. 우리말샘

주2

자연 보존 상태가 원시성을 띠고, 보존할 동식물이나 천연기념물 따위가 있으며, 자연 풍경이 특히 수려하여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대하여 자연공원법에 따라 공원 계획으로 결정한 지구. 우리말샘

주3

공원의 효율적인 보호와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자연공원법에 따라 공원 계획으로 결정한 지구의 하나. 우리말샘

주4

한반도 육지의 가장 끝에 위치하는 마을. 전라남도 해남군에 속해 있다. 우리말샘

주5

산의 맨 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