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해 해상국립공원 (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신안군의 홍도에서 여수시 돌산읍에 이르는 지역의 해상국립공원.
지명/시설
면적
2,266㎢
소재지
서남해안 일대(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은 전라남도 신안군의 홍도에서 여수시 돌산읍에 이르는 지역의 해상국립공원이다. 서남해안의 섬들을 8개 지구로 나누어 1981년에 지정된 14번째 국립공원이다. 서쪽으로는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동쪽으로 전라남도 여수시 금오도, 남쪽으로 전라남도 여수시 거문도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8개 지구는 흑산 · 홍도지구, 비금·도초지구, 조도지구, 소안 · 청산지구, 팔영산지구, 나로도지구, 금오도지구, 거문 · 백도지구이다. 이 중 팔영산지구는 전라남도 고흥군의 팔영산 도립공원을 2011년에 편입해 8번째 지구가 되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의 홍도에서 여수시 돌산읍에 이르는 지역의 해상국립공원.
개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은 1981년 12월 23일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전라남도 여수시 · 완도군 · 진도군 · 신안군 · 고흥군 등 1개 시 4개 군 18개 읍 · 면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2,266.221㎢를 차지하는데, 이 중 87.16%에 해당하는 1,975.198㎢가 해상 지역이고, 12.84%를 차지하는 291.023㎢가 육상 지역이다.

자연환경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지역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섬과 만이 많은 리아스식 주1이 있으며, 홍도(紅島) · 흑산도(黑山島) · 백도(白島) 등 기암절경이 많은 섬들이 점점이 분포하고 있다. 해상에서 이러한 비경을 연출하고 변화무쌍한 기경을 표출하게 된 것은 기암괴석군들이 바다와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홍도는 해안선의 전체 길이가 불과 20.8㎞인 작은 바위섬이지만 동백꽃 숲과 풍란을 비롯하여 많은 희귀 식물류와 곤충류가 서식하고 있다. 해안은 주2을 이루고 있고,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대흑산도는 서해 해상의 유일한 도서 어업 전진기지로 그 규모는 웬만한 어항보다 크다. 이 흑산도 해역에서 잡히는 홍어(洪魚)는 최고의 상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공원 안에는 바다가 갈라지는 기적의 섬 진도(珍島)가 있다. 이 섬은 연륙교가 설치되어 목포에서 버스로 2시간 거리에 있으며 진돗개 · 구기자 · 돌미역의 특산지로 유명하다. 매년 음력 4 · 5월이면 고군면 금계리 회동 마을과 의신면 모도 사이에는 길이 2.8㎞, 너비 50m의 바다가 갈라지는 현상을 보러 오는 관광객들이 많으며, 이 때를 맞춰 영등제(靈登祭)와 같은 민속 축제도 열린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는 1979년 명승으로 지정된 상백도 · 하백도가 있어 39개의 크고 작은 무인도가 온통 깎아지른 듯한 기암괴석의 주3로 장관을 이룬다.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암석 경관이 빼어나며, 석란 · 팔손이나무 · 후박나무 등 300여 종의 아열대 식물이 군생한다. 또한 수십 종의 희귀조가 서식하여 관광 명소 뿐만 아니라 학술 연구의 가치가 높은 곳이다. 상백도에는 태양열 발전의 무인 등대가 설치되어 아름다움을 더해 주고 있다.

현황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은 국토 서남단인 완도, 고흥, 여수, 진도, 신안 지역의 도서 및 해상, 해안 일부에 총 8개 구역으로 분산 지정되어 있다. 2011년 1월 10일에는 고흥 팔영산지구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편입되면서 공원 내 유일한 육지 지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공원 내에는 약 400여 개의 섬이 있으며, 흑산 · 홍도지구, 비금 · 도초지구, 조도지구, 소안 · 청산지구, 거문 · 백도지구, 나로도지구, 금오도지구, 팔영산지구로 구성된다. 구역의 평균 면적은 331.64㎢, 최대 면적은 조도지구로 632.56㎢, 최소 면적은 나로도지구로 143.59㎢이다.

흑산 · 홍도지구는 전라남도 신안군에 해당되며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지구로 천연기념물 제170호로 지정된 홍도와 홍어 특산지인 흑산도가 주요 섬이다. 2018년부터 추진된 흑산공항에 의해 흑산도 지역 공원 일부가 해제 결정(2023년 1월 31일)이 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비금 · 도초지구는 전라남도 신안군의 비금도도초도의 서해안 지역과 우이도를 주요 섬으로 포함하는 지구이다. 여러 해수욕장과 천연기념물, 멸종 위기종에 해당하는 동, 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조도지구는 전라남도 진도군에 해당되며 진도 서남부 끝과 상조도, 하조도, 서거차도, 동거차도, 관매도, 맹골도 등을 주요 섬으로 포함하는 지구이다. 많은 섬들이 새떼처럼 모여 있다고 하여 조도라고 불린다.

소안 · 청산지구는 전라남도 완도군에 해당되며 완도신지도의 남쪽 끝부분과 보길도, 소안도, 청산도를 주요 섬으로 포함하는 지구이다. 보길도는 사적 제368호인 윤선도의 사적지가 있고 청산도는 2007년 아시아 최초로 슬로우시티로 지정된 바 있다.

팔영산지구는 전라남도 고흥군에 위치한 팔영산 일대를 포함하고 있다. 팔영산은 기암괴석의 빼어난 장관을 인정받아 1998년 7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편입되었다.

나로도지구는 고흥반도의 최남단과 내나로도 남단, 외나로도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지구이다. 수려안 해안 경관뿐만 아니라 나로호가 발사된 나로우주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금오도지구는 전라남도 여수시에 위치한 돌산도 남단과 금오도, 연도를 주요 섬으로 포함하는 지구이다. 일출 경관으로 잘 알려진 돌산도의 향일암과 남해의 경관을 보며 트레킹을 할 수 있는 금오도의 비렁길이 있다.

거문 · 백도지구는 전라남도 여수시에 위치한 거문도(서도와 동도), 백도(상백도와 하백도)를 주요 섬으로 포함하는 지구이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백도의 해식애와 주4는 장관을 이룬다.

공원 탐방 프로그램으로는 공원 지역별 특성에 맞추어 총 12개의 탐방 프로그램이 연중 또는 시기별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우이도 모래산의 비밀(7월8월)’, ‘조도 이야기(9월10월)’, ‘철새 관찰 프로그램(4월5월, 10월11월)’, ‘푸른 바다에 찾아든 붉은 물결 · 동백꽃 보러가요(3월5월)’, ‘정도리 어린이 갯돌 체험교실(6월7월)’ 등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홍운, 『한국관광지리』 (형설출판사, 1997)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공원 관리방안 연구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안내서』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인터넷 자료

다도해 해상국립공원(http://dadohae.knps.or.kr)
주석
주1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고 나팔 또는 나뭇가지 모양의 만을 이루는 해안. 침식된 산지가 지각 운동이나 해수면의 변화로 말미암아 침수되어 생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남ㆍ서해안과 미국 동북부의 체서피크만이 대표적이다. 우리말샘

주2

모양이 독특하고 이상한 바위와 가파른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3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4

갈라진 틈.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