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나로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고흥군 동일면에 속하는 섬.
이칭
이칭
나로도, 봉래도, 나라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20.627㎢
길이
해안선 44㎞
소재지
전라남도 고흥군 동일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내나로도(內羅老島)는 전라남도 고흥군 동일면에 속하는 섬이다. 고흥반도 남동쪽에 위치하며 남쪽에 외나로도가 있다. 원래 같은 봉래면에 속했으나 1990년에 동일면으로 분리되었다. 국도2호선이 통과하면서 고흥반도와는 나로1대교로 연륙되어 있고, 우주발사기지가 있는 외나로도와는 제2나로대교로 연도되어 있다. 나로(羅老)의 지명은 1493년(세종24년)에 처음 나로도(羅老島)가 등장하고, 규장각의 광여도와 여지도를 보면 내나로도가 표기될 정도로 오래되었다. 백양리 동포가 중심지이며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지구이다.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동일면에 속하는 섬.
자연환경

내나로도는 주4 127°30′, 주5 34°30′에 위치한다. 최고봉인 상산(272m)을 비롯하여 구룡산(九龍山, 240.6m), 삼암산(三巖山, 212.6m) 등 100~250m 내외의 낮은 산지로 이루어졌 있고, 섬의 남쪽으로는 평야가 좁게 분포한다. 해안선 길이는 44㎞로 해안선의 기복이 심하고 동쪽 돌출부에는 암석 주6이 발달되어 있다. 지질은 한반도 주변에는 섭입대가 형성된 주7 주8화성암과 화산 주9이 분포하고 화강암이 부분적으로 주10 있다. 해안은 강한 주11 작용으로 침식된 화산 쇄설암의 주12, 해안단구 등이 있으며 파랑이 약한 주13에는 사빈이 나타난다.

변천과 현황

1895년 흥양현, 1896년 돌산군, 1897년 고흥군에 편입되었다. 1964년 봉래면 내도 출장소 설치가 되고 1990년 동일면으로 분면되어 내나로도는 동일면이 되었다. 섬의 면적은 20.627㎢이고, 이 중 대지 면적은 0.399㎢, 논과 밭의 면적은 각각 2.711㎢, 2.04㎢, 임야 면적은 14.407㎢이다. 쌀과 보리, 콩, 마늘, 고구마 등의 농업과 삼치, 갈치, 바지락 양식 등의 어업을 함께 하는 전통적인 주14의 산업 주15를 갖추었다. 2022년 기준으로 가구수는 837호이며 인구는 1,448명으로 남자는 731명, 여자는 717명이다. 행정리 11곳과 법정리 3곳을 두고 있으며, 11개의 자연 마을을 두고 있다. 고흥 포두면 남성리와는 1995년에 완공된 나로대교로 주16

공공시설로는 면사무소와 출장소가 각각 1개소, 지구대 파출소와 치안 센터도 각각 1개소, 우체국 1개소, 농협지소 1개소가 있다. 의료 시설으로는 의사와 간호사 3명씩 보유한 보건지소 1개소, 약국 1곳이 있다. 교육 시설로는 유치원이 1개교, 백양초등학교와 백양중학교가 있다. 마을 내에 자치 조직으로는 부녀회와 노인회가 2개, 어촌계가 1개 조직되어 있다. 광역 주17가 연결되어 있다. 서비스 시설로는 주18 1곳, 공중목욕탕 2곳, 호텔급 1곳과 모텔 1곳이 있으며, 민박집 4곳, 펜션 2곳이 있다. 대형마트 1곳과 일반 음식점이 11개소, 휴게음식점과 유흥음심점은 각각 2개소 있다. 마을회관 6곳, 경로당 2곳, 복지회관 3곳이 있다. 동력 주19 77척과 농어촌 버스 4대가 있고 국도 15호선이 통과한다. 방파제는 3곳이 구축되었으며 지방 어항은 3곳이다. 종교 시설로는 교회 6곳, 사찰 1곳이 있다.

남쪽 해안의 일부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속하며 경치가 아름답다. 백양리의 주21와 텐트촌이 있는 덕흥(성천)해수욕장이 알려져 있다. 내나로도 덕흥리 구룡마을은 원시 체험의 섬인 ‘시호도’와 가깝고, 국립 고흥 청소년 우주 체험 센터가 있으며, 나로우주센터 등 우주 연관 시설의 주22으로 해안마을의 경관이 보전되어 있다. 봉영리 소영마을은 내나로도와 외나로도 간의 해상 교통의 요충지이다. 소영 마을은 조선시대에 제주목장에서 기른 군마를 마을에 있던 우마장에 정착시켜 육지로 수송했던 곳으로 역포라 불렀던 곳이다. 덕흥리의 덕양서원은 충신 이건명주23을 기리기 위해 영조 44년(1768)에 유허비를 세우면서 사당 형태로 세웠다가 1928년에 비각을 고쳐 세우고 서원을 세웠다.

참고문헌

단행본

『고흥군통계연보』 (고흥군, 2022)
『전남의 섬』 (전라남도, 2002)
『전라남도유인도정보』 (전라남도, 2022)

인터넷 자료

국립청소년우주센터(https://nysc.kywa.or.kr)
고흥군청(https://www.goheung.go.kr)
주석
주1

각 고을에 나누어 기르던 말. 우리말샘

주2

중국 주나라 때에, 무왕이 은나라 주왕의 서형(庶兄) 미자계(微子啓)에게 은나라 유민을 통치하게 하기 위하여 세운 나라. 상구에 도읍을 정하고 춘추 시대의 12제후의 하나가 되었으나, 기원전 286년에 제, 위, 초의 세 나라에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3

거래 물품을 선박으로 운송하는 무역. 우리말샘

주4

지구 동반구의 경도. 본초 자오선을 0도로 하여 동쪽으로 180도까지의 경선이다. 우리말샘

주5

적도로부터 북극에 이르기까지의 위도. 적도를 0도로 하여 북극의 90도에 이른다. 우리말샘

주6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주7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8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9

화산 분출물이 쌓여 굳으면서 이루어진 암석을 통틀어 이르는 말. 화산력, 각력암, 응회암 따위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10

꿰뚫어 들어가다. 우리말샘

주11

잔물결과 큰 물결. 우리말샘

주12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13

강이나 바다의 물이 활등처럼 뭍으로 휘어드는 부분. 우리말샘

주14

농사를 지으면서 어업도 함께 하는 일. 우리말샘

주15

한 나라의 전체 산업에서 각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각 산업의 상호 관계. 제일차 산업ㆍ제이차 산업ㆍ제삼차 산업으로 분류하며, 산업별 노동력ㆍ소득 구성 따위의 변화 과정 따위를 측정한다. 우리말샘

주16

강이나 바다, 호수, 섬 따위가 육지와 잇닿다. 또는 그 사이를 메워서 잇다. 우리말샘

주17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 한국 수자원 공사 따위가 인정하는 자가 둘 이상의 지방 자치 단체에 원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일반 수도. 우리말샘

주18

이용실과 미용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9

‘어선법 시행 규칙’에서, 선회기를 포함한 추진 기관을 설치한 어선. 우리말샘

주20

원시인이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가 쌓여 이루어진 무더기. 주로 석기 시대의 것으로 바닷가나 호반 근처에 널리 분포하며, 그 속에 토기나 석기ㆍ뼈 따위의 유물이 있어 고고학상의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된다. 우리말샘

주21

원시인이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가 쌓여 이루어진 무더기. 주로 석기 시대의 것으로 바닷가나 호반 근처에 널리 분포하며, 그 속에 토기나 석기ㆍ뼈 따위의 유물이 있어 고고학상의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된다. 우리말샘

주22

국경이나 요새의 성문(城門). 우리말샘

주23

죽은 이가 후세에 끼친 덕.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