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명 ()

초상화첩 중 이건명 초상
초상화첩 중 이건명 초상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우승지, 이조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강(仲剛)
한포재(寒圃齋)
시호
충민(忠愍)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63년(현종 4)
사망 연도
1722년(경종 2)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서장관|우승지|이조판서|좌의정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우승지, 이조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주1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강(仲剛), 호는 한포재(寒圃齋). 이수록(李綏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경여(李敬輿)이다. 아버지는 이조판서 이민서(李敏敍)이며, 어머니는 정승 원두표(元斗杓)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4년(숙종 10) 주3에 합격하고 1686년 춘당대 문과에 을과로 급제, 설서(說書)에 임명되고 수찬(修撰) · 교리 · 주4 · 응교(應敎) · 사간을 역임하였다.

1698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우승지 · 대사간 · 주5 · 주6 등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1717년 주7 이이명(李頤命)이 숙종의 뒤를 이을 후계자 문제로 숙종과 단독 면대했던 정유독대(丁酉獨對) 직후, 특별히 우의정에 발탁되어 왕자 연잉군(延礽君: 뒤의 영조)의 보호를 부탁받았으며, 숙종상(肅宗喪)에 주8로서 장례를 총괄하였다.

이어 경종 즉위 후 좌의정에 승진해 김창집(金昌集) · 이이명 · 조태채(趙泰采)와 함께 노론주9로서 연잉군의 왕세자 책봉에 노력했으나, 이로 인해 반대파인 소론의 미움을 받았다.

1722년(경종 2) 노론이 모역한다는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전라도 흥양(興陽)의 뱀섬[蛇島]에 주10되었다.

그러다가 앞서 주청사로 청나라에 가 있으면서 세자 책봉을 요청하는 명분으로 경종이 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위증(痿症: 양기가 없어 여자를 가까이 하지 못하는 병)이 있다고 발설했다는 죄목으로 소론의 맹렬한 탄핵을 받아 유배지에서 목이 베여 죽임을 당하였다.

재상으로 있을 때 민생에 깊은 관심을 보였고, 특히 당시의 현안이던 양역(良役) 문제에 있어서 주11과 결역전용책(結役轉用策: 수령이 私用으로 쓰는 田結雜役價를 전용해 감필에 따른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자는 방책)을 주장해, 뒷날 영조 때의 균역법 제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시문에 능하고 주12에 뛰어났다. 송시열(宋時烈)을 학문과 정치의 모범으로 숭배했으며, 김창집 형제 및 민진원(閔鎭遠) · 정호(鄭澔) 등과 친밀하였다.

1725년(영조 1) 노론 정권 하에서 신원되어 충민(忠愍)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과천의 사충서원(四忠書院), 흥덕(興德)의 동산서원(東山書院), 나주의 서하사(西河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시문과 소차(疏箚)를 모은 『한포재집(寒圃齋集)』 10권이 전한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사마방목(司馬榜目)』
『한포재집(寒圃齋集)』
『당의통략(黨議通略)』
「조선후기의 양역변통론의에 대한 검토」(정만조, 『동대논총』7, 1977)
주석
주1

조선 경종 원년(1721)에 세제(世弟)의 책봉을 주장한 노론 출신의 네 대신. 김창집ㆍ이이명ㆍ이건명ㆍ조태채로, 모두 소론에 의하여 쫓겨나 피살되었다. 우리말샘

주2

이조의 으뜸 벼슬. 정이품의 문관 벼슬이다. 우리말샘

주3

‘국자감시’를 달리 이르던 말. 국자감시에 합격한 사람을 진사라고 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이른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이조에 속한 정오품 벼슬. 정원은 2명으로 병조 전랑과 함께 인사 행정을 담당하였다. 우리말샘

주5

이조에 속한 정삼품의 당상관. 이조 참판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6

이조의 으뜸 벼슬. 정이품의 문관 벼슬이다. 우리말샘

주7

사촌 형. 우리말샘

주8

국상(國喪)에 관한 모든 의식을 총괄적으로 맡아보던 임시 벼슬. 우리말샘

주9

여러 사람 가운데 우두머리. 우리말샘

주10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우리말샘

주11

조선 후기 숙종 때 양역에 있어서 2필에서 1필로 군포 부담을 줄이자던 주장. 영조 때의 균역법 시행에 영향을 주었다. 우리말샘

주12

원나라 초기의 조맹부의 서체. 우리말샘

집필자
정만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