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차군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남서부에 위치한 군도.
이칭
이칭
구초도, 거추도
지명/자연지명
면적
5.039㎢
둘레
28.68㎞
소재지
전남 진도군 조도면 서가차도리, 동거차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거차군도는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남서부에 위치한 군도이다. 진도의 서남쪽 최외곽인 맹골도와 마주하고 있다. 거차수도(巨次水道)의 서남쪽에 있는 서거차도와 동쪽에 있는 동거차도를 비롯하여 윗대섬[上竹島]과 아랫대섬[下竹島]·상송도·송도·항도 및 북도로 이루어져 있다. 동거차도는 거차군도의 도서 중에서 가장 크다. 천연기념물인 유문암질 단괴(구상페퍼라이트)가 있다. 주로 동북-서남 방향과 그 역의 방향으로 섬의 윤곽이 정해지고 파랑작용으로 해식애, 파식대, 해식동, 포켓비치 등 다양한 암석해안 경관이 나타나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다.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남서부에 위치한 군도.
명칭 유래

거차군도의 거차는 백제시대부터 무역선이 거쳐 가는 지점으로 ‘거차(去次)한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과, 거차군도 일대 해역의 물길이 거칠다 하여 붙여졌다는 설과, 바다에 떠 있는 섬들이 마치 물 위에 큰 버금(물거품)이 떠 있는 것 같다 하여 거차라 하였다는 설이 있다. 삼국통일 시대 일본 스님 엔닌[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의 마지막 편에 나오는 구초도(丘草島)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거추도(巨趨島), 『비변사등록』에는 거차도(巨次島)라는 섬이 나온다. 이 섬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군도를 거차군도라 일컫는다.

자연환경

중생대주1 주2 화산활동에 의한 산성화산암류로 이루어진 주3, 주4 및 백악기 경상계 주13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차군도의 암석은 지각을 뚫고 여러 갈래의 암맥 형태로 상승하던 규질 또는 산성질 마그마가 지표 가까이 쌓여있던 화산재와 혼합(混合)하여 만들어졌다. 거차군도의 유문암질 주5는 규질 암맥이 둥근 단괴 모양으로 떨어져 나온 모습을 한 구상 페페라이트(peperite)로 추정된다. 이는 퇴적작용과 주14(특히 마그마의 관입이나 용암의 유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에 종종 만들어져 과거 주7의 성격과 시기의 해석에 큰 도움을 주는 암석으로 2009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어 지질학적으로 중요하다. 주로 침식에 강한 대체로 돌출된 돌섬들로 이루어졌다. 육지부의 침식 주8들이 해수면 상승으로 침수되고 남은 부분들이 섬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해안은 외해의 파랑작용이 강한 남동부와 북서부 해안지형으로는 주9, 주10, 주11 등이 나타난다. 해안은 구조선의 영향으로 다양한 이 많아 굴곡져 있다. 지형적으로 만의 입구에는 작은 섬들이 방파제 구실을 하여 서가차도항은 서남해안의 중요한 천연의 항구이다. 남서쪽 맹골도와 거차군도 사이에는 강하고 빠른 조류에 영향을 받는 맹골수도가 있다.

1월 평균기온 2℃, 8월 평균기온 26℃, 연강수량 1,010㎜, 연강설량은 15㎜이다. 난류의 영향으로 후박나무주12이 우점하고 있으며, 칼새 · 동박새 등 희귀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이러한 해안과 해양조건의 영향으로 벵어돔, 감성돔 등의 낚시터로도 유명하다.

변천과 현황

거차군도는 진도의 남단에서 서남쪽 약 30㎞ 해상에 있고, 맹골도의 북동쪽에 있으며, 하조도대마도의 남서쪽 해상에 자리하고 있다. 상죽도(윗대섬), 하죽도(아랫대섬), 서거차도, 동거차도의 유인도와 항도, 송도, 하송도, 상송도, 망도, 북도와 암초 등의 무인도로 이루어진 섬들의 군락이며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지구에 모두 속한다. 유인도의 총면적은 5.039㎢, 그 중 전답은 각각 0.543㎢, 0.046㎢로 반농반어촌이다. 총 해안선의 연장은 28.68㎞에 이른다.

총 가구수는 142호이며 인구는 2022년 현재 남자 117명, 여자 119명으로 도합 236명이다.

전체 법정리는 서거차도리와 동거차도리 2개이며, 상하죽도리가 추가되어 행정리는 총 3개이고 자연마을은 7개가 있다. 상하죽도는 13.39㎞ 떨어진 조도면 하조도 창유항과, 서거차도와 동거차도는 약 73㎞ 떨어진 목포연안여객터미널과 정기여객선이 다닌다. 상죽도와 하죽도는 1980년 다리로 연결되어 왕래가 가능하다. 공공시설로는 출장소 1곳, 치안센터 1곳, 보건진료소 1곳, 레이더기지가 있다. 교육시설은 초등학교는 조도초등학교거차분교 1개교가 있다. 서거차도 발전소의 전기는 동거차도에 공급되고, 지방 상수도망이 설치되어 있다. 동력어선은 37척, 승용차는 없고, 화물차만 8대가 있다. 국가 어항인 서거차도항는 남해와 서해의 중간해역의 어업전진기지이다. 도선장은 4곳, 선착장 5곳, 물양장이 1곳, 방파제는 2곳이 있다. 기타 교회가 2곳, 복지회관이 3곳이 있다. 광어, 멸치가 주어종이며 낚시터로 유명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연안수로지』(교통부 수로국, 1981)
『진도군지』(진도군지편찬위워회, 2007)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진도통계연보』(진도군, 2021)
『전라남도유인도정보』(전라남도, 2022)

인터넷 자료

공동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해양수산부 연안포탈(http://www.coast.kr)
주석
주1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2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3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온 화산재 따위의 물질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4

정장석, 석영, 운모 따위의 결정(結晶)으로 이루어진 화성암. 규산이 많이 든 광석으로, 흰색을 띠며 물결무늬가 있다. 도자기나 건축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5

퇴적암 속에서 어떤 특정 성분이 농축ㆍ응집되어 주위보다 단단하여진 덩어리. 우리말샘

주6

암석의 파편이나 생물의 유해(遺骸) 따위가 물이나 빙하, 바람 따위의 작용으로 운반되어 일정한 곳에 쌓이는 일. 우리말샘

주7

지각에서 일어나는 모든 운동과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 우리말샘

주8

땅이 비탈지고 조금 높은 곳. 우리말샘

주9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10

해식으로 해식애 밑부분의 연약한 암석이 깎이어 생긴 굴. 우리말샘

주11

해식붕이 융기하여 이루어진 바닷가의 평탄한 지형. 우리말샘

주12

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상록 활엽수의 삼림. 우리말샘

주13

퇴적 작용으로 생긴 암석. 기계적 퇴적 작용으로 생긴 사암ㆍ역암 따위의 쇄설암, 화학적 퇴적 작용으로 생긴 처트와 암염 따위의 화학적 침전암, 유기적 또는 생화학적 퇴적 작용으로 생긴 석회암, 석탄을 포함하는 유기적 퇴적암으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14

마그마에 의하여 일어나는 모든 작용. 화산 분화, 화산암의 생성, 심성암의 관입(貫入)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