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흑산도 ()

흑산도
흑산도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섬.
이칭
이칭
흑산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섬.
개설

대흑산도를 주도로 하여 홍도(紅島)·대둔도(大芚島)·영산도(永山島)·다물도(多物島) 등이 흑산군도를 이룬다. 동경 125°26′, 북위 34°41′에 위치하며, 면적 17.75㎢, 해안선 길이 41.8㎞이며, 흑산면의 인구는 4,714명(2008. 12. 31 현재)이다.

명칭 유래

섬 전체가 검게 보인다고 하여 흑산도라 하였다 한다.

자연환경

섬 서쪽에 깃대봉(378m), 북쪽에 상라산(上羅山, 227m), 남쪽에 선유봉(仙遊峰, 300m)을 비롯하여 섬 전체가 산지를 이루고 있다.

지난 10년간 흑산도 지역의 연평균기온은 13.3℃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100.9mm이다.

형성 및 변천

흑산도는 828년(흥덕왕 2) 장보고(張保皐)가 완도에 청해진(淸海鎭)을 설치하고 당나라와 교역할 때부터 사람이 정착하였으며, 월산군(月山郡)에 속하였다. 1678년(숙종 4)흑산진(黑山鎭)이 설치되었고, 나주목(羅州牧)에 소속되었다가 1888년흑산진으로 승격하여 만호(萬戶)를 두고 서해진(西海鎭)을 감시하였다.

또한, 1895년지도군(智島郡)에 속하였다가 1914년지도군이 없어지자 무안군(務安郡)에 속하여 오다 1969년신안군(新安郡)에 속하게 되었다.

현황

경지 면적은 논 3㏊, 밭 208㏊, 임야 1,545㏊이며, 주요 농산물로는 고구마·보리를 비롯하여 콩·마늘·참깨가 생산된다. 수산물로는 조기·병어·해태·미역 등이 생산된다.

2004년 1월 30일에 흑산도의 일부 지역이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목포·흑산도·홍도와의 사이에 페리호가 다니고 관광객이 많이 오고 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1981년 12월 23일 14번째 국립공원(건설부고시)으로 지정되었으며, 그 면적이 2,321.512㎢에 달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국립공원이다. 공원은 신안군, 진도군, 완도군, 여수시에 걸쳐 1,596개의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신안군 내의 140개의 유·무인도서 및 여(與)가 포함된다.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대장도에 위치한 장도습지(長島濕地)는 도서지역에 발달한 산지습지로서 도서지역의 지형경관의 특이성과 습지지역의 다양한 서식환경과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보존 가치가 인정되어 2005년 3월 우리나라에서는 3번째로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다. 습지 고유의 이탄층(泥炭層)이 매우 넓은 규모로 발달하여 있어 수자원 저장기능이 매우 뛰어나며, 주민들의 생활 식수로 이용되고 있다. 총 26개 이상의 식물군락(植物群落)이 출현하고 있고, 제주도와 거의 유사한 난대성 식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부분의 식생은 자연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흑산도의 진리 2구에는 반월성(半月城)이 있는데, 성(城)의 생김새가 반월 모양을 하고 있다. 이것은 길이 2,300m, 높이 0.5∼2m로, 신라시대 장보고가 왜구들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쌓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려시대 사람이 들어와 살았다고 한다. 성의 뒤쪽은 바다에 면하여 있어 방어벽으로 안성맞춤인 자연적 여건이 완벽한 성터이며, 성문은 없으나 성문의 받침은 남아 있어 돌의 크기 등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참고문헌

『장도습지(長島濕地) 자연생태계(自然生態系) 조사보고서(調査報告書)』(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2004)
『한국도서백서(韓國島嶼白書)』(전라남도, 1996)
『도정백서(道政白書)·도서현황(島嶼現況) 및 개발계획편(開發計劃篇)·』(전라남도, 1981)
『도서지(島嶼誌)』(내무부, 1985)
국립공원관리공단(http://www.knps.or.kr/)
신안군청(http://www.shinan.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