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록활엽수림 ()

자연지리
개념
1년 내내 넓고 푸른 잎을 가지고 있는 쌍떡잎나무가 자라는 숲.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상록활엽수림(常綠闊葉樹林)은 1년 내내 넓고 푸른 잎을 가지고 있는 쌍떡잎나무가 자라는 숲이다. 상록활엽수는 겨울에도 넓고 평평한 잎이 지지 않고 달리는 늘푸른넓은잎나무다. 나무 크기에 따라 교목, 아교목, 관목으로 나뉘며, 상록침엽수, 대나무류와 함께 1년 내내 숲을 푸르게 한다. 분류학적으로는 속씨식물 가운데 쌍떡잎식물류에 속한다. 난대성 상록활엽수는 우리나라 남해안과 도서 지역에 주로 자라며, 한대성 상록활엽관목은 백두산에서 한라산까지 고산과 아고산대에 격리 · 분포한다.

정의
1년 내내 넓고 푸른 잎을 가지고 있는 쌍떡잎나무가 자라는 숲.
형태와 생태

상록활엽수림(常綠闊葉樹林)은 동아시아에서는 주1 기후의 우리나라 남해안, 중국 남부, 일본 남부에 주로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주2에 녹나무속 · 감탕나무속 등, 주3 제3기 초기부터 송악속 · 가시나무속 · 구실잣밤나무속 등이 출현하였다.

오늘날 한반도에는 130여 종의 주4가 종 주5주6 35° 이남에서 높고, 중부와 북부 지방으로 갈수록 낮다. 내륙보다 에 주로 분포하며, 일부 종은 섬에만 자란다. 난대성 상록활엽수인 가시나무 · 녹나무 · 종가시나무 · 생달나무 · 사철나무 등과 덩굴 주7주8 · 마삭줄 · 주9 · 주10 · 멀꿀 등은 해안과 주11 지역에 주로 자란다. 한대성 상록활엽관목인 주12 · 돌매화나무 · 주13 · 주14 등은 주15 주16으로 백두산에서 한라산까지 고산과 주17에 격리 · 분포한다.

상록활엽수 숲의 주18에는 구실잣밤나무 · 후박나무 · 붉가시나무 등, 아교목층에는 동백나무 · 감탕나무 · 참식나무 등, 관목층에는 그늘을 견디는 식나무 · 사스레피나무 등, 초본층에는 보춘화 · 마삭줄 · 송악 등이 자란다. 숲이 여러 층위를 이룰수록 안정되고 건강한

식생도(植生圖)주19에는 우리나라 남부 해안 지방이 상록활엽수 숲 지대가 표기되어 있으나 정작 현지에 상록활엽수가 드문 것은 과도한 채취, 이용, 숲 개발 및 산불 등으로 원래의 식생이 훼손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상록활엽수는 낙엽활엽수, 상록침엽수가 섞여 자라는 혼합림을 이루거나 소나무숲과 같은 사람의 손길이 더해진 주20으로 바뀌었다.

관련 풍속

동아시아 난온대에 자라는 상록활엽수 숲의 나무들은 한랭 · 건조한 겨울을 견디기 위해 잎이 작고 두껍다. 잎 표면에 수분의 발산을 줄이고 이물질의 침입을 막아 주는 주21이 있는데 햇빛을 받으면 번쩍거려 조엽수림(照葉樹林, laurel 주22이라고 부른다.

조엽수림대는 생태 · 지리적으로 비슷한 풍토를 보이며, 문화적으로도 공통성을 지녀 조엽수림 문화라고 하기도 한다. 조엽수림 문화에서는 화전(火田) 농업에서 시작한 야생 주23 · 토란 · 주24을 재배하였다. 은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익혀 먹고, 찹쌀은 쪄서 가공하며, 주25으로는 물고기를 이용하여 젓갈주26을 담근다. 을 재배하여 메주를 만들기도 하고 찻잎을 음료용으로 가공하기도 한다. 시신의 뼈를 나중에 모아 묻는 초분(草墳) 풍습이 남아 있기도 하다.

현황

전형적인 난대성 상록활엽수 숲은 충청남도 보령 외연도리, 전라남도 강진 까막섬, 완도 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천지연에서 볼 수 있다. 상록활엽수 분포의 주27은 전라남도 함평 붉가시나무,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내장산 굴거리나무, 부안 변산반도의 후박나무, 인천광역시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등으로 식물종마다 다르다.

추위에 민감한 남방계 난대성 상록활엽수는 겨울 저온의 피해를 받지만, 북방계 한대성 상록활엽수는 여름 고온에 취약하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상록활엽수의 분포역에 변화가 생겨 한라산 600m 일대까지 자라는 녹나무 · 후박나무 · 굴거리나무 · 동백나무 등은 높은 곳으로 옮겨 가고 있다. 반면 한라산 1,800m 이상 고산대에만 분포하는 돌매화나무 · 시로미 등의 상록활엽관목은 한라산 내에서 이동할 피난처를 찾지 못해 멸종할 위기에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공우석, 『생물지리학으로 보는 우리 식물의 지리와 생태』 (지오북, 2007)
공우석, 『우리 나무와 숲의 이력서』 (청아출판사, 2019)

논문

공우석, 「지구온난화에 취약한 지표식물 선정」 (『한국기상학회지』 41, 한국기상학회, 2005)
구경아, 「한반도 상록활엽수의 지리적 분포와 기후요소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주석
주1

난대와 온대의 중간 지대. 우리말샘

주2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3

중생대에 이어지는 가장 새로운 지질 시대. 약 6,5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시대를 이르며, 그 말기에 인류가 나타났다. 우리말샘

주4

사철 내내 잎이 푸른 활엽수. 우리말샘

주5

일반적으로 종수 개체 수 관계로부터 본 군집 구조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특성. 우리말샘

주6

적도로부터 북극에 이르기까지의 위도. 적도를 0도로 하여 북극의 90도에 이른다. 우리말샘

주7

줄기가 길쭉하여 곧게 서지 않고 다른 물건을 감거나 거기에 붙어서 자라는 식물. 고구마, 완두, 오이, 나팔꽃, 담쟁이덩굴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8

후춧과의 상록 활엽 덩굴성 나무. 길이는 4미터 정도이며 잎은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 또는 심장 모양이다. 암수딴그루로 6~7월에 노란색의 잔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공 모양의 장과(漿果)로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9

오미자과의 상록 활엽 덩굴나무.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봄에 누르스름한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피고 열매는 둥근 장과(漿果)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관상용, 제지용으로 재배한다.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0

뽕나뭇과의 상록 덩굴성 식물. 줄기에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여름에 꽃이 피고 열매는 은화과(隱花果)로 둥글고 모람보다 크다. 한국의 남쪽 섬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1

크고 작은 온갖 섬. 우리말샘

주12

장미과의 상록 활엽 소관목. 고산 식물의 하나로 줄기는 길게 벋고 높이는 5cm 내외이며, 잎은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뒷면에는 솜털이 많다. 여름에 흰색 또는 노르스름한 꽃이 긴 꽃줄기 끝에 하나씩 핀다. 관상용이고 높은 산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3

시로밋과의 상록 관목. 줄기가 땅으로 뻗는데 길이는 60~90cm로 잎은 뭉쳐나고 넓은 선 모양이다. 초여름에 보라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가을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먹을 수 있다. 한국, 일본, 남아메리카의 고산 지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4

진달랫과의 상록 소관목. 높이는 20~3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딱딱하며 달걀 모양 또는 도란형이다. 초여름에 빨간 꽃이 조그맣게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빨갛게 익는데 신맛이 난다. 관상용이고 고산에 절로 자라는데 한국의 금강산 이북, 중국, 일본, 북반구의 한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5

빙하 시대에, 중위도 지역까지 빙하가 존재하였던 시기. 항상 한랭한 기후가 계속되었던 것은 아니며, 온난한 시기가 두세 번 있었다. 우리말샘

주16

과거에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거나 개체 수가 많았던 생물로, 현재는 한정된 지역 또는 특별한 환경에서만 생존ㆍ생육하고 있는 생물. 소수가 잔존하는 미국 들소, 좁은 지역에서만 생육하는 메타세쿼이아, 거의 진화하지 않은 채로 생존하고 있는 실러캔스, 개맛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7

온대의 산악을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진 식물의 수직 분포대. 해발 1,500~2,500미터의 지대로 고산대와 저산대의 사이에 있으며, 저온 건조하여 침엽수가 많다. 우리말샘

주18

산림을 구성하는 임관층의 최상층으로, 교목의 수관(樹冠)으로 된 층. 우리말샘

주19

한 지역 안에 있는 식물 군락의 분포를 나타낸 지도. 우리말샘

주20

기존의 숲이 산불, 홍수, 토양의 유실, 벌채 따위 같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대부분 훼손된 뒤, 토양에 남아 있는 종자, 뿌리, 포자 따위에서 새롭게 생겨나는 숲. 우리말샘

주21

생물의 체표 세포에서 분비하여 생긴 딱딱한 층. 몸을 보호하고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구실을 한다. 식물에서는 주로 각피소나 납으로 이루어지며, 절지동물에서는 경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외골격을 형성한다. 우리말샘

주22

습기가 많은 곳에 분포되어 있는 상록 활엽수를 주로 한 삼림 군계(森林群系). 아열대로부터 난ㆍ온대에 걸쳐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23

맛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덩이뿌리의 길이는 2미터 정도이며, 6~7월에 흰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를 맺는다. 덩이뿌리는 약용 또는 식용한다. 한국의 함남ㆍ중부 이남,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24

쌀 이외의 모든 곡식. 보리, 밀, 콩, 팥, 옥수수, 기장, 조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우리말샘

주25

주식에 곁들여 먹는 음식. 밥에 딸린 반찬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26

생선을 넣고 담근 장. 우리말샘

주27

식재 분포에서, 난대 식물을 북위도 지역에 식재할 경우 저온 때문에 생기는 생육 한계선.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