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불목리에 있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2.90㎢
둘레
6.5㎞
소재지
전라남도 완도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마도는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불목리에 있는 섬이다. 고마도는 완도의 북쪽에 위치한 면적 약 2.9㎢의 섬으로 인구는 101명이다(2021년 기준). 완도 본섬과 해남군 북일면, 그리고 고금도에 둘러 쌓여 있으며 주변에 유인도(토도, 사후도)와 무인도(장구도, 장죽도)가 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불목리에 있는 섬.
내용

동경 126°71′, 북위 34°41′에 위치하며, 완도읍에서 10.3㎞, 군외면 소재지에서 약 7㎞ 떨어져 있다. 완도 본도(완도군 군외면 영풍리), 해남군 북일면 내동리, 그리고 고금도(완도군 고금면 봉명리) 사이에 위치한 섬이다. 면적은 2.90㎢이고, 해안선 길이는 6.5㎞이다. 고마도 주변으로 유인도인 주1(서쪽)와 사후도(동남쪽), 무인도인 주2(서쪽), 장죽도(북쪽) 등이 분포하고 있다.

신라시대 장보고(張保皐)주3를 길렀다고 하여 고마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임진왜란 때 마도진이 설치되었으나 선박의 입출항이 불편하여, 후에 강진군 주4으로 옮겨졌다.

지질은 능주층군이 대부분이다. 섬의 동서 양쪽 끝에 높이 100m 내외의 서상봉과 동상봉이 위치하고 있고, 중앙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구릉지인 기신봉이 자리잡고 있으며 기신봉 주변으로 마을과 경작지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은 사빈 주5과 암석 주6이 모두 나타나는데, 동쪽과 서쪽의 산지 주변은 암석 해안이 발달해 있고, 남쪽과 북쪽에는 사빈 해안이 분포한다. 특히 썰물 때에는 간석지를 통해 육지와 연결된다.

연평균 기온은 14.3℃이고, 1월 평균 기온은 1.9℃, 8월 평균 기온은 25.1℃이며, 연강수량은 1,282㎜이다.

현황

2021년 기준으로 인구는 101명(남 59명, 여 4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 수는 67세대이다. 취락은 남쪽 해안 중앙부에 집중하여 분포한다. 조선 숙종 때 김씨 · 이씨 · 조씨 등이 입도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 0.02㎢, 밭 0.38㎢, 임야 2.26㎢이다. 주산업은 농업과 어업이다. 주요 농산물은 고구마이고, 보리와 쌀 · 콩 등이 약간 생산된다. 주된 어획물은 농어 · 장어 · 낙지 · 숭어 · 감성돔 등이고, 바지락 · 굴 · 김 · 미역 등을 양식한다. 미역 가공업이 발달하였다.

군외면 불목리 선착장에서 나룻배가 운항된다.

참고문헌

원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도서지』(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전라남도, 1996)
『완도통계연보』(완도군, 2022)
주석
주1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황진리에 속하는 섬. 대부분 구릉성 산지와 평지이다. 중앙에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으며, 농업과 어업이 두루 이루어진다. 간조 시 하루에 두 번 바닷길이 열려 육지와 이어진다. 우리말샘

주2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에 있는 섬. 무인도이다. 우리말샘

주3

군대에서 쓰는 말. 우리말샘

주4

전라남도 강진군에 있는 면. 강진군의 동남부에 위치해 있다. 동쪽에 봉대산이 솟아 있으며, 서쪽에 마량천이 흐른다. 주로 벼농사를 짓고 해안에서는 특산물인 김ㆍ미역ㆍ꼬막 등이 많이 난다. 자연 경관이 수려하며,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인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이 있다. 2007년 6월에 완도군 고금면과 연결되는 고금 대교가 개통되었다. 강진 마량 농공 단지가 있다. 2021년 강진군청 누리집을 기준으로 면적은 20.10㎢. 우리말샘

주5

모래가 많이 퇴적한 해안 지형. 파도의 작용에 의하여 바닷가에 형성되며, 이 뒤로는 해안 사구가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6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