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세균의 시, 왕실 제문, 소(疏), 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세균의 시, 왕실 제문, 소(疏), 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4권 8책. 필사본. 목록과 권9·10·13의 3책만이 남아 있는 영본이다.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필사연대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336수, 권3에 반교문(頒敎文) 1편, 교서(敎書) 2편, 치사(致詞) 3편, 왕실만장(王室輓章) 3수, 상량문 1편, 서(序) 2편, 전문(箋文) 5편, 악장문(樂章文) 1편, 왕실제문 14편, 사제문 각 7편, 발(跋) 2편, 권4·5에 소(疏) 49편, 소비(疏批) 1편, 의(議) 9편, 계(啓) 1편, 전(箋) 51편, 권6·7에 행장 2편, 시장(諡狀) 4편, 지(誌) 7편, 비문 3편, 묘표 1편, 권8·9에 제문 21편, 서(序) 22편, 기(記) 8편, 발(跋) 7편, 명(銘) 3편, 권10에 시제(試製) 11편, 강설(講說) 1편, 서(書) 39편, 권11∼14는 모두 강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결본이 많아서 전체적인 내용은 파악할 수 없다. 다만 「강설」은 저자가 1871년(고종 8)에서 1874년까지 경연관(經筵官)으로 있을 때, 다른 경연관들과 함께 입시(入侍)하여 경서의 강론과 시사(時事)를 대화체로 엮어서 일기형식으로 기록해놓은 것이다.

이 글은 경연의 성격과 임무 등을 알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된다. 그 중 「만재기(晩齋記)」는 젊어서 관계에 나가 학문을 할 여가가 없었음을 한탄하고, 퇴관 후 비록 늦었지만 학문에 뜻을 두고 다시 시작한다는 뜻에서 호를 지었음을 밝혀놓은 글이다.

집필자
허호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