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1책. 필사본. 8세손 노각(老珏)이 2책으로 된 저자의 전고(全稿) 중 1책을 수집하여 필사한 것이다. 권두에 변시연(邊時淵)이 쓴 서문과 자서(自敍), 그리고 권말에 노각이 쓴 발문 등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 산암문고(汕巖文庫) 등에 있다.
시 350여 수, 가장(家狀) 2편, 부록으로 족손(族孫) 노백(老柏)과 변시연 등이 쓴 비음기(碑陰記)·묘갈명 등이 있다.
시에는 저자가 교유한 변득형(邊得衡)·변치도(邊致道)·염종석(廉宗錫)·임희윤(林希允) 등의 시를 차운(次韻)하여 지은 「우차변성윤운(又次邊聖潤韻)」·「차염랑백양행(次廉郎白羊行)」 등의 차운시와 김석조(金碩祖)·홍경천(洪擎天)·신처권(申處權) 등 많은 인물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지은 시 등이 유람·피병(避病)의 여정에서 지은 시들과 더불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가장에는 저자의 할아버지로 효종 때 소촌도찰방(召村道察訪)을 지낸 진갑(震甲)과 아버지를 대상으로 지은 것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