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와문집 ()

매와문집
매와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68년(고종 5)경 최린의 후손들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원조(李源祚)의 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판본.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200여 수, 권2에 부(賦)·잠(箴)·명(銘)·찬(贊)·소(疏)·기(記) ·서(序)·발(跋)·논(論), 권3에 제문 14편, 묘지 3편, 행장 4편, 서(書) 3편, 권4에 사우기문록(師友記聞錄)·설(說)·잡저·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형식과 주제가 다양한 작품이 고루 실려 있는데, 특히 「십이월유고양진유감(十二月留高陽陣有感)」·「재과탄금대조전망장사(再過彈琴臺弔戰亡將士)」 등은 임진·병자 양대 외침을 배경으로 지어져 서사성이 짙다.

잠의 「임강지미(臨江之蘪)」·「검지려(黔之驢)」는 당나라 유종원(柳宗元)의 ‘삼계(三誡)’로 불리는 작품을 읽고 자경(自警)의 의도로 지은 글인데, 교훈성이 강하게 내재되어 있다. 소의 「퇴계이선생변무소(退溪李先生辨誣疏)」는 1635년 윤방(尹昉)이 선사(先師)를 무함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성주(星州)의 유림대표로서 지어올린 것이다.

「송대부전(松大夫傳)」은 가전체(假傳體) 소설로서 광해군의 혼정(昏政) 아래 벼슬살이하는 자를 비판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밖에도 「발송학사경렴홍무성정서후(跋宋學士景濂洪武聖政序後)」·「금릉비상인론(金陵非常人論)」·「시변(詩辨)」 등을 포함한 폭넓은 제재의 작품이 고루 실려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