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창집 ()

목차
관련 정보
한문학
문헌
1668년에 부안의 기녀 매창(梅窓)의 시 58수를 모아 간행한 시집. 한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668년에 부안의 기녀 매창(梅窓)의 시 58수를 모아 간행한 시집. 한시집.
개설

2권 1책. 목판본. 1668년(현종 9) 12월에 현의 아전들이 전송(傳誦)하던 매창의 한시 수백수 중에 각체 58수를 모아 변산 개암사(開巖寺)에서 개간(開刊)하였다.

내용 및 평가

『매창집』의 서문은 없고 발문에서 “계생(桂生)의 자는 천향(天香)이고 호는 매창이라고 한다. 현리(縣吏) 이양종(李陽從)의 딸로 1573년(선조 6)에 나서 1610년(광해군 2)에 죽으니 나이 38세이다. 평생 시 읊기를 잘하고 지은 바 시 수백 수가 인구에 회자되었다. 거의 다 흩어져 없어졌다. 1668년 10월에 이배(吏輩)들이 전송하는 것을 얻어 모아 각체 58수를 판 짠다.”고 하였다.

이 시집 속에 수록된 매창의 한시를 각체별로 보면 오언절구 20수, 칠언절구 28수, 오언율시 6수, 칠언율시 4수 등 58수가 순서대로 수록되었다. 말미에 발문, 즉 간기가 부록되어 있다. 창매의 한시는 재치있고 정감이 넘치면서 한국적 여성 특유의 인고의 성정이 풍만한 작품들이다.

취객들로부터의 위기를 시로써 모면하였다는 시 「증취객(贈醉客)」은 시화에 가장 많이 전하는 것이다. “취한 손님이 명주저고리자락을 잡으니/손길따라 저고리 찢어졌네/명주저고리야 아깝지 않아도/님의 은정 끊길까 두렵다네.”라 하여 그의 시재를 보여준다. 「추사(秋思)」 · 「춘원(春怨)」 등도 널리 애송되는 작품이다.

『매창집』은 간송문고(澗松文庫)에 2종이 있고, 서울대학교 도서관 가람문고에 필사본 1책이 있으며, 하버드대학 도서관 도서에도 있다. 『조선역대여류문집』에는 시 전부를 활자로 채록하였다. 『역대여류한시문선(歷代女流漢詩文選)』에는 시 전부를 번역하였다. 김억(金億)의 『금잔디』에는 38수를 번역, 게재하였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촌은집(村隱集)』
「매창문학(梅窓文學)의 연구(硏究)」(김지용, 『수도여자사범대학논문집』 6, 1974)
『역대여류시문선(歷代女流詩文選)』(김지용 역, 대양서적, 1973)
『조선역대여류문집(朝鮮歷代女流文集)』(민병도, 을유문화사, 1950)
『금잔디』(김억, 동방문화사, 1947)
『꽃다발』(김억, 박문서관, 194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