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음력 10월에 공동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춤과 노래로 즐기던 명절행사이다.
예의 무천에 관한 기록은 ≪위지 魏志≫(3세기)와 ≪후한서 後漢書≫에 보인다. ≪위지≫ 동이전 예전(濊傳)에 “늘 10월절 하늘에 제사하고 밤낮으로 술을 마시고 노래부르고 춤추니 이것을 이름하여 무천이라고 한다. 또, 범을 제사지냄으로써 신으로 삼는다(常用十月節祭天 晝夜飮酒歌舞 名之爲舞天 又祭虎以爲神).”라는 기록이 있다. ≪후한서≫의 기록도 이와 똑같다.
고구려의 동맹이나, 한(韓)의 5월 · 10월의 농공시필기(農功始畢期)의 제천의식들은 그 뒤의 기록들에도 나타나나, 예의 무천과 부여의 영고에 관한 기록은 이들 촌락국가의 소멸에 따르는 부여전(夫餘傳) · 예전(濊傳)의 소멸과 더불어 사라져서 그 뒤의 기록들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무천의 기록은 극히 단편적일 수 밖에 없는 자료이다. 그래서 무천은 같은 북쪽인 부여의 영고나, 고구려의 동맹을 비롯해서 남쪽 한의 제천의식들과 종합적으로 살피는 것이 바람직할 수 밖에 없다. 그 중 영고는 경축하는 축제의 성격을 강하게 풍기며, 한의 제천의식은 농경의례였다는 사실이 분명하다.
따라서, 고구려의 동맹과 예의 무천의 10월 제사는 그것이 추수감사의 축제였을 것이 분명해진다. 예로부터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을 표방해 왔던 한국의 강한 농경문화성을 이 기록들은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농경의례들은 농경문화로 특징지어지는 신석기시대 이래로 싹터왔을 것으로 짐작되며, 무천의 10월, 동맹의 10월, 한의 10월 제천행사들은 오늘날 시월상달 관념과 상통하는 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는 이러한 농민의 집단적인 공동제의로는 동제(洞祭)가 있다. 이 동제도 흔히 정월과 10월에 많이 행해진다.
특히, 고구려의 동맹은 ≪주서 周書≫(7세기) · ≪북사 北史≫(7세기) 등에 의하면 목각여신상(木刻女神像)을 제사하는 여신관념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서도 오늘날의 동제들이 통계상으로 남신의 2배를 넘는 강한 여신관념을 보여주고 있어서 상통하는 점이 많은 것을 느끼게 한다.
이상을 종합할 때 이 3세기 무렵의 무천을 비롯한 제천의식의 기록들은 신석기시대이래 5,000년의 우리 농경문화사의 종교적인 뿌리에 관한 핵심적인 기록이라 할 것이다.
무천의 끝에는 범을 신으로 여기고 제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오늘날까지 동제신(洞祭神)에 범 관념을 따르는 지역이 적지 않지만, 특히 영동지방과 산악지대에 강한 느낌이 있고, 강릉 단오굿의 대관령 서낭신에 얽힌 범 관념은 그 대표적인 것이다.
다른 기록과 달리 무천에서만 범 신이 보이는 것도 영동의 북쪽에 있었던 예(濊)의 것이기 때문에 지리적으로도 고금을 통한 일말의 마음이 괴롭고 아픔을 느끼게 하는 바가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