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전당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묵전당문집
묵전당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시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시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5년 10대손 석조(錫祚)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필영(尹弼榮)의 서문과 권말에 석조의 후지(後識)가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500여수, 제문·서(序) 각 3편, 발(跋) 2편, 묘갈명·행장 각 1편, 부록에 묘지명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에는 전라도관찰사로 있을 때 그 지방의 독특한 관습과 풍물을 읊은 「우기토풍(偶記土風)」, 농사의 작황과 농민의 생활을 걱정한 「촌려기소견(村閭記所見)」, 1647년(인조 25)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연경(燕京)을 왕래하면서 견문과 감회를 읊은 「고죽고성알이제묘(孤竹古城謁夷齊廟)」·「장성음(長城吟)」, 적소(謫所)에서 고적과 무상을 읊은 「야우견형(夜雨見螢)」·「추회(追懷)」 등 매우 다채로운 작품들이 많다. 이밖에 이명한(李明漢)에 대한 치제문(致祭文) 등이 특이하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