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꾸라지

목차
관련 정보
미꾸라지
미꾸라지
동물
생물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목차
정의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내용

한자어로는 추(鰌), 추(鰍)라고 한다. 학명은 Misgurnus mizolepis G{{%119}}NTHER이다. 미꾸리라고도 부르나 이는 별종이다. 몸은 길고 가늘며 측편(側扁)하다. 입은 작고 배쪽에 붙어 있으며 입가에 5쌍의 수염이 있다. 비늘은 대부분이 살갗 속에 묻혀 있고 머리에는 비늘이 없다. 꼬리지느러미는 후연(後緣)이 둥글다.

몸빛은 등쪽이 암감람색이고 배쪽이 담황색이다. 머리와 배쪽을 제외한 몸에는 선명치 않은 작은 흑점이 분포되어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담흑색의 선상(線狀) 반문이 있다. 몸길이는 약 20㎝ 정도이다.

우리 나라 서부·남부 지방의 하천·호소(湖沼)를 중심으로 하여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주로 연못가나 논두렁, 도랑 및 수로 등에 사는데 진흙이 깔린 얕은 물의 흐름이 없는 곳에서 산다. 흐르는 물에는 아주 적다.

바닥에 붙은 말이나 유기물을 진흙과 함께 먹는데 몸길이가 8㎝ 내외가 되기까지는 실지렁이 등 소동물도 잡아먹는다. 또, 식물의 눈, 곡류, 해감 등을 먹기도 하며, 산란기는 초여름이다. 장호흡(腸呼吸)을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아가미호흡 이외의 공기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겨울에는 진흙 속에서 동면한다.

미꾸라지는 내수면의 잡기 쉬운 곳에 서식하고 있으므로 선사시대부터 중요한 식량자원의 구실을 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문헌상으로는 ≪고려도경 高麗圖經≫에 등장한다. 여기에는 영세민이 즐겨 먹는 9종의 수산동물이 열거되어 있는데 추도 포함되어 있다. ≪동의보감 東醫寶鑑≫에는 추어(鰍魚)라 하고 한글로 ‘믜꾸리’라고 썼으며, 모양이 단소(短小)하고 항상 진흙 속에 있는데 일명 추어(鰌魚)라고 하며, 또 그 약효는 보중(補中), 지설(止泄)하다고 하였다.

≪난호어목지 蘭湖漁牧志≫에는 이추(泥鰍)라고 하고 한글로 ‘밋구리’라고 쓰고, 이를 설명하여 살은 기름이 많고 살찌고 맛이 있으며 시골사람은 이를 잡아 맑은 물에 넣어두고 진흙을 다 토하기를 기다려 죽을 끓이는데 별미라고 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추두부탕이라 하여 특수한 미꾸라지 요리법이 설명되어 있는데, “미꾸라지를 맑은 물에 5, 6일간 넣어두어 진흙을 다 토하게 한 뒤 솥에다 두부 몇 모와 물, 미꾸라지 50∼60마리를 넣고 불을 때면 미꾸라지는 뜨거워서 두부 속으로 기어든다. 더 뜨거워지면 두부의 미꾸라지는 약이 바싹 오르면서 죽어간다. 이것을 썰어서 참기름으로 지져 탕을 끓인다.”고 되어 있다.

한편, ≪해동죽지 海東竹枝≫에는 “서리가 내릴 무렵 두부를 만들어 이것이 미처 응고되기 전에 추어를 넣고 다시 눌러서 굳게 하여 얇게 썰고 생강·천초를 넣고 가루를 섞어 삶는다.”고 쓰여 있다. 요즈음에는 미꾸라지에 솎음배추·부추·고비나물 등 채소를 많이 넣고 끓인 추어탕이 인기이다.

미꾸라지는 지방·단백질·비타민 A가 풍부하여 뱀장어에 못지않는 영양식품이다. 1986년에는 2,613M/T를 잡았는데, 최근의 어획고가 감소하여 1997년에는 172M/T였다. 값이 비싸기 때문에 양식이 증가하여 1997년의 양식고는 400M/T였다.

참고문헌

『고려도경』
『동의보감』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
『한국산담수어류』(김인배, 태화출판사, 1974)
『한국어도보』(정문기, 일지사, 1977)
『한국료리문화사』(이성우, 교문사, 1985)
『해양수산통계연보』(해양수산부, 199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구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