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양 ()

운창문집
운창문집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동부승지, 호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계선(季善)
운창(芸窓)
시호
문경(文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09년(순조 9)
사망 연도
1890년(고종 27)
본관
반남(潘南)
출생지
서울
주요 관직
선공감감역|사헌부지평|호조참의|동부승지|호조참판|대사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동부승지, 호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계선(季善), 호는 운창(芸窓). 서울 출신. 박제일(朴齊日)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연안이씨(延安李氏)로 이운원(李運源)의 딸이다. 이지수(李趾秀)의 문인이다. 천자(天姿)가 청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였다. 일찍이 외가에서 공부하다가 이지수 문하에 들어가 경의(經義)를 배웠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6년에 프랑스가 강화도에 침범하자, 이를 물리쳐야 한다는 내용의 「벽사명(闢邪銘)」을 지어 사람들을 깨우쳤다. 송근수(宋近洙)의 천거로 1880년(고종 17)에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에 임명되고, 이어 사헌부지평·호조참의·동부승지·호조참판·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저편서로는 『운창문집(芸窓文集)』 15권을 비롯하여 『이학통고(理學通攷)』·『호락원류( 湖洛源流)』·『가례증해보유(家禮增解補遺)』·『거상잡의(居喪雜儀)』·『속통감(續通鑑)』·『국조기이(國朝記異)』 등이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운창문집(芸窓文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