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임진왜란, 이괄의 난, 병자호란 당시에 활동한 의병.
이칭
계유(季悠)
설파(雪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2년(명종 17)
사망 연도
1640년(인조 18)
본관
함양(咸陽)
출생지
영암(靈巖)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승원은 임진왜란, 이괄의 난, 병자호란 때 당시에 활동한 의병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와 형과 함께 고경명 의병에 합류하였다. 정유재란 당시 임환 등과 함께 활동하였으며, 수군에 군량을 공급하였다. 이괄의 난 때는 군사 및 군량을 모았으며,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정의
조선 후기 임진왜란, 이괄의 난, 병자호란 당시에 활동한 의병.
가계 및 인적 사항

박승원(朴承源)은 1562년(명종 17) 전라남도 영암에서 태어났다. 자는 계유(季悠), 호는 설파(雪坡),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오한(五恨) 박성건(朴成乾)의 현손(玄孫)이며, 녹야당(綠野堂) 박대기(朴大器)의 둘째 아들이다. .

주요 활동

임진왜란 당시 아버지와 형 박장원(朴長源)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고경명 의병과 함께 활동하였다. 고경명이 순절하자 그 아들 고종후와 함께 활동하였다. 정유재란 때에는 같은 고을의 임환(林懽)과 창의하여 족제(族弟) 박근이(朴謹已), 임게(林垍), 이정조(李廷祚)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순천왜교성전투(順天倭橋城戰鬪)를 전후하여 통제사 이순신이 고금도에 진을 치고 있을 때 군량을 공급하는 계원도유사(繼援都有司)로 활동하였다.

1624년 이괄의 난 때는 족질(族姪)인 조행립(曺行立), 신여의(愼汝誼)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군사와 군량을 모았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가 화친하였다는 소식에 통곡하며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 후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거부하고 칩거하였다.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효종 대에 송시열송준길이 박승원이 삼란 당시에 창의한 전후 사실을 아뢰었고, 그 후손인 박수성(朴壽聖)을 금부도사에 제수하였다.

상훈과 추모

1681년(숙종 7) 죽정서원(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을 건립하고, 박성건(朴成乾)을 주향(主享)으로 하고, 박권(朴權) · 박규정(朴奎精) · 이만성(李晩成) · 박승원 등을 배향(配享)하였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영암읍지(靈巖邑誌)』
『죽정서원지(竹亭書院誌)』
『호남병자창의록(湖南丙子倡義錄)』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논문

나선하, 「17세기 靈巖地方의 鄕案·鄕戰과 향촌지배질서의 추이」(『지방사와 지방문화』 제16권 제2호,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