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화 ()

유교
인물
개항기 때, 『관재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윤중(允中)
관재(觀齋)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4년(고종 1)
사망 연도
1905년(고종 42)
본관
함양(咸陽)
출생지
경상남도 창원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관재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윤중(允中), 호는 관재(觀齋). 구산현(龜山縣: 경상남도 창원) 옥정동(玉井洞)에서 출생. 아버지는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박원묵(朴元默), 어머니는 경주최씨(慶州崔氏)로 최재린(崔在麟)의 딸이다. 송병선(宋秉璿)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3세에 학문을 배우기 시작하여 6세에 글을 지어 신동(神童)이란 이름을 얻었다. 15세에 명경과(明經科)에 응시했으나 나이 어리다는 이유로 합격하지 못했고, 그 뒤로는 선비들이 분경(奔競: 엽관운동)하는 것을 보고 과거를 포기했다.

당대의 유명한 학자인 서찬규(徐贊奎)와 곽종석(郭鍾錫)을 찾아가서 성리학을 배웠다. 1888년(고종 25) 유림을 대표하여, 권상하(權尙夏)를 문묘배향(文廟配享)하도록 상소하였다.

1894년에 동학란이 일어나자 민심수습 차 내려온 순찰사(巡察使)에 시정5조(時政五條)의 개혁을 건의하였고, 1896년에는 시정(時政)의 편의 10조를 건의하는 등 몸은 초야에 있었으나 마음은 나라에 두어 충성을 다했다. 저서로 『관재집(觀齋集)』 3권이 있다.

참고문헌

『관재집(觀齋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