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생전에 스스로 정사(精寫)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18권 2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10에 시 1,800여수, 기(記) 1편, 사(詞) 9편, 가(歌) 7편, 곡(曲) 1편, 사(辭) 3편, 부(賦)·계(啓)·통문(通文) 각 1편, 전문(箋文) 7편, 권11에 서(序) 24편, 권12에 기 11편, 잡저 2편, 권13에 제발(題跋) 11편, 권14에 논(論) 3편, 변(辯) 1편, 권15에 설(說) 7편, 권16에 발 7편, 명(銘) 5편, 잠(箴) 1편, 찬(贊)·상량문 각 2편, 권17에 제문 25편, 축문 4편, 권18에 유사·행록(行錄) 각 1편, 묘지 3편, 가장(家狀)·전(傳)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야호행(夜虎行)」·「춘설행(春雪行)」·「강행무제백수(江行無題百首)」·「산림경제(山林經濟)」·「장미편(薔薇篇)」·「계동편(季冬篇)」·「세우이십운(細雨二十韻)」 등 규모가 큰 시들이 있다. 또한 「학시(瘧詩)」·「궁원(宮怨)」·「초동(樵童)」·「여왕릉(麗王陵)」·「귀등정족산성(歸登鼎足山城)」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룬 시와, 「염노교사(念奴嬌詞)」·「낙세사(樂歲詞)」·「정주사(定州詞)」·「양주소부사(楊州少婦詞)」·「청루월가(淸樓月歌)」·「설부(雪賦)」·「석춘부(惜春賦)」 등 여러 형태의 운문이 고루 실려 있어 참고 자료가 된다.
서에는 「국천유고서(菊泉遺稿序)」·「요진서(要進序)」·「금보서(琴譜序)」 등 많은 작품이 있다. 기에는 장편으로 구성된 「유양주설악산기(遊襄州雪嶽山記)」와 「유청학동기(遊靑鶴洞記)」 등이 있어 기행 문학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제발(題跋)에는 「서거가유훈후(書居家遺訓後)」·「제성양수연문견록후(題性養隨燕聞見錄後)」 등이 있다. 그밖에 「변도론(辨道論)」·「장의론(張儀論)」·「연단론(燕丹論)」·「산해설(山海說)」·「서초설(鋤草說)」·「기삼백설(朞三百說)」·「잡설(雜說)」 등의 논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