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침 ()

목차
주생활
물품
방 옆에 딸리어 이불이나 기타 살림을 보관하는 작은 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방 옆에 딸리어 이불이나 기타 살림을 보관하는 작은 방.
내용

이와 비슷한 용어로는 골방·도장방·고방(庫房)·다락·벽장이 있는데 다락과 벽장은 일단 방바닥보다 반 칸 정도 높은 위치에 자리하며, 고방은 바닥에 마루가 깔린 것이다.

도장방은 바닥이 구들이며 한 칸으로 이루어져 사람이 기거하기도 한다. 골방은 주로 안방이나 큰방에 곁달리고 바닥이 구들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가구를 놓고 수장공간으로 이용한다. 이에 비하여 반침은 보다 작은 공간으로서 일종의 붙박이장이다.

바닥은 구들이거나 마루이거나 자유롭고 이 안에 또다시 장을 놓는 경우는 없으며 사람이 직접 출입할 수는 없다. 이 점이 벽장과 유사하지만 벽장은 아래를 다른 용도로 쓰고 방 공간의 상부만 쓰는 것이 다르다.

이와 같은 것으로 제주도 민가의 장방(藏房)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상방[大廳]의 뒤퇴 한쪽이나 앞퇴의 모퇴(모퉁이퇴)에 시설된다. 이것은 상하 몇 단(보통 3단)으로 나뉘며 앞에 판장문으로 된 조그만 문을 각 단마다 쌍여닫이로 단다. 여기에는 집안의 잡다한 살림들을 넣어 둔다.

이에 대해 반침은 문이 보다 큼직하게 시설되며 그 안에 몇 개의 단을 만들어 이용하는데 주로 침구류를 보관한다. 이것은 20세기 이래로 서구의 주택과 우리 주택의 골방이 결합하면서 만들어낸 새로운 공간으로 이해된다.

말하자면 의생활의 변천이 보다 큰 장을 요구하게 되었고 여기에 발맞춰서 작은 공간으로 구획되던 장방이 보다 큰 공간으로 출현한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