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치설화 ()

구비문학
개념
기녀에게 빠진 남성이 사랑의 표시로 이를 빼 주었으나 허사였다는 내용의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발치설화」는 기녀에게 빠진 남성이 사랑의 표시로 이를 빼 주었으나 허사였다는 내용의 설화이다. 「배비장전」의 근원 설화로 알려져 있다. 순진한 소년이 사랑에 빠져 이까지 뽑아 주었으나 노련한 기녀의 비웃음을 산다는 내용이다. 어리석은 사랑을 해학적으로 그려내면서 색욕에 대한 경각심과 풍자의 의미를 함께 담고 있다. 서사 유형은 기녀 설화 및 남성 훼절 설화와 관련되며, 문헌 설화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훼절’이라는 대담한 소재를 다룬 설화에 해당한다.

정의
기녀에게 빠진 남성이 사랑의 표시로 이를 빼 주었으나 허사였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이 설화의 기본 내용은 『태평한화골계전』에서 찾을 수 있다.

한 서울 소년이 경주촌에 내려갔다가 기녀와 사랑에 빠졌다. 그러다가 소년이 다시 서울로 돌아가게 되자 기녀는 슬퍼하면서 머리털보다 중요한 것을 달라고 요구했다. 그러자 소년은 자신의 이를 뽑아 주었다. 이후 소년이 서울로 돌아와서도 기녀를 잊지 못하고 지냈는데, 그 기녀가 다른 사람과 잘 지낸다는 소식을 들었다. 소년은 사람을 시켜 기녀에게서 자신의 이를 다시 찾아오게 하였다. 그러자 기녀는 소년을 ‘어리석은 아이’라고 비웃으며, 지금까지 빼앗은 남자들의 이를 모아 둔 포대를 보여 주었다.

이 설화는 순진한 소년이 사랑에 빠져 기녀에게 이까지 뽑아 주었으나 결국에는 비웃음을 사고 말았다는 소년의 어리석은 사랑 이야기를 해학적으로 그려 낸다. 그리고 색욕에 대한 경각심을 드러내고, 신체와 정신에 대한 훼손으로 유교 및 계급의 허위 의식을 벗겨 내려는 풍자의 의미를 함께 담고있다.

「배비장전」과의 관련성

「발치설화」는 「배비장전」『동야휘집(東野彙輯)』「쌀뒤주 설화」의 근원 설화로 알려져 있다. 「배비장전」에서는 정 비장이 애랑과 헤어지는 장면에 이 설화가 포함되어 있다. 애랑은 온갖 아양으로 정 비장을 꾀어내어 그의 재물과 관복을 빼앗고 상투와 앞니까지 빼앗는다. 이를 지켜보던 배 비장이 비웃으며 자신의 지조와 절개를 자신하자, 방자가 과연 그가 호색에 초연해질 수 있는지 내기를 건다. 그리고 동행하던 제주 목사가 애랑과 모의하여 배 비장의 절개와 지조를 깨뜨린다. 「배비장전」에서 「발치설화」는 정 비장이 여색에 빠져들어 처참하게 전락하는 풍자의 기능을 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배 비장의 지조와 절개를 깨뜨리려는 모의가 시작되는 계기로서 기능하고 있다.

설화 유형

「발치설화」는 내용상 기녀 설화 및 남성 훼절 설화와 관련된다. 기녀 설화는 기녀가 남성의 재물을 빼앗는 이야기, 남성을 유혹하여 곤경에 빠뜨리는 이야기, 기녀가 남성을 사랑하여 열렬한 애정을 쏟는 이야기, 기녀가 효‧충‧열의 도리를 다하는 이야기 등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발치설화」는 남성이 색욕에 쉽게 넘어가며 자신의 한계를 드러내는 유형에 속한다.

또한 이 유형의 설화는 남성 훼절담과 서사적 관련성을 지니는데, 남성 훼절담은 ‘어떤 남자가 남의 책략에 속아 평소 지켜왔거나 지키겠다고 하던 금욕적 절조를 스스로 훼손함으로써 남의 웃음거리가 되는 이야기’라는 기본 구조가 공식화되어 있다. 그리고 ‘훼절 대상자–훼절 당담자–훼절 모의자’의 인물 관계를 중심으로 사건이 진행되며 모의자가 주인공의 훼절 사실을 폭로하는 후반부가 다양하게 변이되는 특징이 있다. 이 기본 구조에서 「발치설화」는 남성 훼절의 극단적인 모습을 보여 주는 화소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훼절 담당자와 훼절 모의자가 동일한 인물로 설정된다는 점, 즉 훼절 모의자의 ‘놀려 주기’ 역할이 훼절 담당자인 기녀에게 귀속되어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양상의 남성 훼절담으로 볼 수도 있다.

전승 양상

「발치설화」는 문헌 설화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훼절’이라는 대담한 소재를 다룬 작품이다. 웃음과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면서도, 기녀가 사대부를 비웃는 장면에서는 풍자의 의미를 담고 있어 다양한 고전 소설 작품으로 변용‧전승되었다.

구비 설화 자료에서 기녀 설화와 남성 훼절 설화 내 ‘발치’ 화소는 자주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남의 생니를 뽑으며 글재주를 자랑하는 중에게 글 내기를 이겨 이를 뽑게 한 김삿갓의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이는 ‘발치’ 화소가 현학(衒學)에 대한 풍자의 역할로도 나타남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원전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을유문화사,1976)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1970)

논문

권순긍, 「<裵裨將傳>의 풍자와 제주도」(『泮橋語文硏究』 14, 반교어문학회, 2002)
김현룡, 「기녀설화 변이 연구」(『겨레어문학』 33, 겨레어문학회, 2004)
백미애, 「남성훼절담 연구」(『한국언어문학』 37, 한국어문학회, 1996)
여세주, 「貞男毁節說話의 類型性과 그 意味」(『어문학』 50, 한국어문학회, 1989)
이원수, 「남성훼절설화의 실상과 의미」(『국어교육연구』 21, 국어교육학회,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