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국지 ()

목차
관련 정보
발해국지
발해국지
고대사
문헌
중국인 당안(唐晏)이 발해에 관해 저술하여 1919년에 출판한 역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인 당안(唐晏)이 발해에 관해 저술하여 1919년에 출판한 역사서.
내용

4권. 여러 서적에서 발해국사에 관한 사료를 수집하여 분류 · 정리하고, 거기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쓴 책이다. 당안(唐晏)은 순수한 만주족인 와르카(瓦爾喀) 출신이나, 이 책에서는 스스로를 발해국의 솔빈부(率濱府 : 지금의 소련 沿海州 동남 해변인 Nikolisk) 후인(後人)으로 밝히고 있다.

양종희(揚鐘羲)의 서문에 의하면, 당안은 1882년 과거에 급제하여 수조(水曹)직을 맡아 일하는 한편 여가가 있을 때마다 서적을 들추었던 호학의 관료였다.

이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권1은 원시(原始) · 기년(紀年) · 후기년(後紀年), 권2는 지리지 · 직관지 · 여복지(輿服志) · 예악지 · 사명지(詞命志) · 성씨지 · 풍속지 · 물산지, 권3은 조공표(朝貢表) · 정전표(征戰表), 권4는 동성열전(同姓列傳) · 이성열전(異姓列傳) · 혈유열전(孑遺列傳)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승간(劉承幹)의 서에서 원시 · 기년 · 후기년에 “무릇 지(志)는 8이고, 표(表)가 2이며, 열전(列傳)이 3”이라고 하고 있는 바와 같다.

이 책은 발해국사의 자료뿐만 아니라, “위로는 숙신(肅愼)에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아래로는 금나라(여진족)의 뿌리에서 만주족에 이르기까지 상세히 싣고 있다.”는 평과 같이 만주족 전반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그 분류에 있어 미비한 점이 있고, 또 증의(證義)에 있어서도 정확하지 않은 것이 적지 않다.

김육불(金毓黻)이 발해국사의 연구에 있어 획기적인 거작이라고 일컬어지는 ≪발해국지장편≫ 20권을 엮게 된 것은 이 ≪발해국지≫에 자극을 받아 그 미비한 점을 보완하고 증의의 틀린 것을 고치려는 데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중국에 있어서 종래 전혀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발해사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渤海國志長編』(金毓黻, 華文書局, 193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