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민요의 하나. 언제 발생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경기민요 중 대표적인 고제(古制)의 하나로 꼽힌다. 곡명은 후렴에서 따왔고, 방아찧는 노작과는 거리가 멀다. 노랫말은 일정하지 않고, 그 중 많이 불리는 것의 첫절은 다음과 같다.
“에헤헤야/에헤라/우이겨라/방아로/구나/일락은/서산에/해떨어/지고/월추/―울/동/령에/저기 저달이/막 솟아/온/다/노/자/좋/구나/오초/동남/너른/물에/오고/가는/상고/선은/순풍에/돛을/달고/북을/두리둥실/울리/면서/어기/여차/닻감는/소래/원포/귀/범이/에헤라/이아니란/말/가”
세마치장단에 유절(有節)형식으로 되어 있다. 후렴이 앞에 붙고, 후렴의 처음은 일정한 노랫말이 반복되나 후반은 일정하지 않다. 각 절의 처음에는 "노자 좋구나"라는 군말이 붙는다.
구성음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한다면 솔·라·도·레·미의 5음으로 되어 있고, 주음인 솔로 하행하는 종지법을 갖고 있다. 장인음(長引音)과 극적인 굴곡을 많이 쓰고, 경기민요 특유의 화사한 장식음을 많이 사용하는 흥겨운 곡이다.
이 곡의 뒤를 이어서 볶는타령장단으로 된 짧고 경쾌한 가락으로 이 곡보다 장2도 이상 높게 쇠어서 부르는 「잦은방아타령」이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