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의 낭산(狼山) 밑에 살던 빈한한 선비로 세상의 일을 달관했던 인물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그는 이름도 성도 알 수 없으며, 가세가 빈곤하여 늘 누더기옷을 입고 다녔는데, 그 모양은 마치 메추리가 매달린 것 같았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백결(百結 : 백 번을 기웠다는 뜻)선생이라고 불렀는데, 그는 일찍이 영계기(榮啓期:사슴가죽 옷에 새끼 띠를 매고 늘 금을 타며 노래를 부르고 다녔다는 중국 춘추시대의 인물)를 흠모한 나머지 스스로도 금을 타며 인생의 희로애환을 모두 달랬다.
어느 해 세모를 맞아 이웃에서는 조[粟]를 찧어 별식을 마련하는데, 선생의 집안은 그것마저 여의치 않아 그의 아내가 이 같은 가난을 상심하자 그는 곧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무릇 죽고 사는 것은 명에 달렸고, 부귀는 하늘에 매인 일이어서 인력으로는 어쩔 수 없는 것인데 그대는 무엇 때문에 부질없이 상심하는가.”라고 하며, 이내 가야금으로 방아 찧는 소리를 연주하여 그의 아내를 위로해 주었다.
이 때의 음악이 후세에 대악(碓樂), 즉 방아악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한편, 영해 박씨(寧海朴氏) 족보에는 백결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보이는데, 그의 이름은 박문량(朴文良)이며, 414년(실성왕 13)에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아들로 태어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눌지왕 때 아버지 박제상이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가 순절(殉節)하자 그의 어머니 김씨와 누나인 아기(阿奇)와 아경(阿慶)은 비보를 듣고 이내 자결하였고, 가운데 누나인 아영(阿榮)만이 남아서 백결을 양육하였다고 한다.
그 뒤 아영이 궁중으로 출가하자 그도 함께 입궐하였으며, 장성해서는 각간(角干) 이수현(李壽玄)의 딸과 혼인하여 관직에도 있었다. 478년(자비왕 21)에는 모든 관직을 떠나 향리로 돌아갔는데, 이 때 그는 <낙천악 樂天樂>이라는 귀향곡을 지어 불렀다고 한다.
더없이 청렴하고 결백했던 그는 궁중으로부터의 모든 후원을 거절하고 스스로 궁색한 생활을 즐기다가 말년에는 종적을 감추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