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대붕 ()

한문학
인물
조선전기 「취음」, 「추일」 등의 시를 쓴 여항시인.
이칭
만리(萬里)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592년(선조 25)
본관
임천(林川)
정의
조선전기 「취음」, 「추일」 등의 시를 쓴 여항시인.
개설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만리(萬里). 천인의 신분으로 시를 잘 지어 이름을 날렸다.

생애와 활동사항

언제 출생하였는지 분명하지 않으나 유희경(劉希慶)·정치(鄭致)와 함께 노닐었다는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을 보거나 허봉(許篈)·심희수(沈希洙) 등과 더불어 터놓고 사귀었다는 『학산초담(鶴山樵談)』의 기록을 참조한다면 아마도 1550년(명종 5) 전후에 태어났던 것 같다. 홍여하(洪汝河) 『목재집(木齋集)』에 「백대붕전(白大鵬傳)」이 실려 있다.

자신의 시에서 군함과 수운을 맡고 있는 전함사(典艦司)의 노예라고 자신의 신분을 밝히고 있으나 사실인지는 알 수 없다.

허균(許筠)은 그가 궁궐의 열쇠와 왕명의 전달을 책임을 맡은 액정서(掖庭署)의 사약(司鑰)이 되었다고 기록하였는데, 잡직이기는 하지만 정6품의 자리였다.

그가 어떠한 경로로 그 지위까지 올랐는지 알 수 없으나, 그의 시를 본뜨는 시체(詩體)를 사약체(司鑰體)라 이름하였다. 대체로 만당(晩唐)의 풍을 본떠 위약(萎弱)한 시를 지었다고 일컬어졌다.

1590년(선조 23)에 통신사 허성(許筬)이 일본으로 사신 갈 때에 함께 갔었으며, 뒤에 순변사 이일(李鎰)이 ‘일본의 일을 잘 안다’ 하여, 데리고 가다가 상주에서 싸우다가 패하여 군중(軍中)에서 죽었다.

같은 천인으로 시를 잘 지은 유희경과 함께 백대붕이 유희경(劉希慶)과 친한 벗으로서 시를 주고받아 책 한 질(帙)이 되니, 당시의 경대부들이 모두 허여(許與)하였다. 같은 처지의 위항인끼리 모여 시를 짓는 모임인 풍월향도(風月香徒)를 주도하였다.

그의 시는 「취음(醉吟)」·「추일(秋日)」 두 편밖에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인 시세계는 알 수 없으나, 세상에 만족하지 못한 원통한 심사와 울적한 기운[불평원울지기(不平寃鬱之氣)]을 반영하고 있다고 한다.

허균(許筠)은 『성수시화(惺叟詩話)』에서 백대붕(白大鵬)이라는 자가 일찍이 문지기를 했는데 또한 시에 능해 그의 동류(同類)들이 모두 그를 본받았다. 그의 시는 맹교(孟郊)와 가도(賈島)를 배워 고담(枯淡)하고 연약했던 까닭에 권필(權韠)은 만당(晩唐)을 배우는 사람을 볼 때마다 반드시 문지기체라고 일컬었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학산초담(鶴山樵談)』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
『일사유사(逸士遺事)』
『희조질사(熙朝軼事)』
집필자
고경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