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윤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윤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27년 진주용강서당(龍江書堂)에서 김대림(金大林)의 편집으로 윤휴의 8세손 윤신환(尹臣煥) 등이 간행하였다. 원래 저자의 유문을 그가 죽은 뒤 아들 윤하제(尹夏濟)·윤경제(尹景濟) 등이 편집·정리했지만, 집안의 몰락으로 간행을 보지 못하고 그 후손들에 의해 비전(祕傳)되어 오다가, 소차·잡저 등을 보충해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유석우(柳奭佑)의 서문과 권말에 8세손 윤신환의 발문이 있다. 한편, 저자의 유고는 이 책에 수록된 것 외에도 많은 분량이 있는데, 이를 추가해 1974년 경북대학교 도서관에서 『백호전서(白湖全書)』라는 이름으로 간행한 바 있다.

서지적 사항

30권 18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두에 목록이 있고, 이어 권1에 부(賦) 8편, 권2에 시 120수, 권3에 전유회계(傳諭回啓)로 비망기(備忘記) 15편, 회계(回啓) 20편, 장(狀) 13편, 권4∼10에 소 118편, 권11에 차자(箚子) 19편, 권12에 경연강설(經筵講說), 권13에 경연계사(經筵啓辭), 권14∼16에 서(書) 133편, 권17에 고유문(告由文) 7편, 제문 23편, 권18에 묘지명 8편, 묘갈명 6편, 권19에 행장 1편, 권20에 시장(諡狀) 2편, 권21에 사실(事實) 2편, 권22에 서(序) 8편, 기 5편, 발 7편, 잠 1편, 명 1편, 권23에 잡저 13편, 권24에 만필(漫筆), 권25∼27에 공고직장도설(公孤職掌圖說), 권28에 묘제(廟制) 3편, 권29에 백록동규석의(白鹿洞規釋義) 및 권학시(勸學詩), 부록으로 사제문(賜祭文)·반교문(頒敎文)·만(挽)·격정상언(擊錚上言)·발, 권30에 부록으로 저자의 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의 「숙야사(夙夜辭)」·「감춘부(感春賦)」 등은 서정적 정취를 풍기는 작품이다. 「산중사기송영보(山中辭寄宋英甫)」·「재증송영보(再贈宋英甫)」 등도 문학성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특히 그의 정적(政敵)이었던 송시열(宋時烈)에게 우정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시에도 「수송영보(酬宋英甫)」·「차송영보운(次宋英甫韻)」·「방송영보불우(訪宋英甫不遇)」 등 송시열과의 교분을 짐작하게 하는 것이 있다. 이밖에 「송경회고(松京懷古)」·「고새하곡(古塞下曲)」등이 비교적 서정성이 두드러진 작품으로 꼽힌다.

권4∼10의 소는 「사대사헌소(辭大司憲疏)」·「우참찬사직소(右參贊辭職疏)」 등 사직소가 대부분이다. 권7의 「논복제소(論服制疏)」는 그가 효종의 복상(服喪) 문제에 따른 예론(禮論)과 관련하여 송시열 등에 대립해 올린 소이다.

권14의 서(書)에는 허적(許積)·허목(許穆)·권사성(權思誠)·원두표(元斗杓)·이완(李浣) 등에게 보낸 것이 있으며, 권15·16의 서(書)에는 송시열·이단상(李端相)·윤선거(尹宣擧)·윤증(尹拯)·박세채(朴世采) 등에게 보낸 것들이 있다. 학문적인 문답을 주고받은 것은 별로 없고 대부분 문후(問候)나 시사(時事)에 대한 내용이다.

권21의 사실(事實)은 「통제사이충무공유사(統制使李忠武公遺事)」와 「제장전(諸將傳)」 등 2편으로 되어 있다. 이는 모두 임진왜란 때 왜적과 싸워 공을 세운 여러 장수들에 대한 전기로서 임진왜란 연구에 참고할 만하다. 권23의 잡저에는 「전례사의(典禮私議)」 등 예론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권24의 만필은 상·하 2편으로 고사(古事)나 그가 견문한 잡다한 내용들을 수필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권25∼27의 「공고직장도설」은 중국 주(周)나라 때의 관직 제도를 해설한 내용으로, 왕에게 제진(製進)한 글이다. 권28의 묘제는 「관혼(冠昏)」·「제례(祭禮)」·「향약조목(鄕約條目)」 등으로 되어 있다. 이 책에는 경학과 성리학에 관한 논문들이 거의 누락되어 있는데, 이는 1974년에 간행된 『백호전서』에 보충되어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