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기대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훈련도감에 소속된 마병(馬兵).
목차
정의
조선 후기 훈련도감에 소속된 마병(馬兵).
내용

1728년(영조 4) 무신란(戊申亂)에 마병과 보병(步兵)에서 자원하여 출전하는 자로 마병초(馬兵哨) 1초(哨)를 만들어 도순무사(都巡撫使)에 예속시키고, 개선하면 그대로 무과에 합격시켜 좌전초(左前哨)에 충당한 뒤 이를 별기대라 불렀다.

훈련도감 마병은 총 7초 833인으로서 매초에 119인씩인데, 이 중 별기대는 101인이었다. 1778년(정조 2)부터 대조회(大朝會)가 있을 때는 파문갑사(把門甲士) 대신 별기대 28인이 기구와 복장을 갖추고 계(械)를 잡고 배호(陪扈)하도록 하였다. 또한, 집춘문(集春門)에서 공북문(拱北門)까지의 순라(巡邏) 및 남영(南營) 입직(入直)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만기요람(萬機要覽)』
「조선후기(朝鮮後期) 별군직(別軍職)의 조직(組織)과 그 2」(장필기, 『사학연구(史學硏究)』40, 1989)
집필자
장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