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병재문집
병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박하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박하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판본. 1871년(고종 8) 후손 진덕(鎭德)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휘재(李彙載)·허전(許傳)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주목(柳疇睦)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46수, 사(詞) 1편, 서(書) 1편, 제문 3편, 권3·4는 부록으로 세계사실(世系事實)·왕복서(往復書)·유적(遺蹟)·입석축(立石祝)·가전본장(家傳本狀)·묘갈명·행장·상량문·봉안문·상향문·통문(通文)·제영(題詠)·실기(實紀)·실기후(實紀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와 사는 품격이 높고 청아하다. 「유태백산(遊太白山)」·「등운문산성(登雲門山城)」·「유금강산(遊金剛山)」 등은 명승지를 유람하고 느낀 소감을 읊은 대표작이다. 「제박취금헌팽년문(祭朴醉琴軒彭年文)」은 사육신의 한 사람인 박팽년(朴彭年)을 치제(致祭)한 글로서, 그의 평생에 쌓은 업적과 충렬(忠烈)을 높이 추앙하고 있다.

잡저의 「문답설(問答說)」은 조식과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조식의 인품을 높이 평가하고, 인성(人性)의 선악(善惡)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이밖에도 박씨(朴氏)의 원류와 문맥(文脈)·관맥(官脈) 등을 기록한 「세계사실」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