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양이목 설화 ( )

목차
구비문학
작품
승려 보양(寶壤)이 비를 내린 죄로 죽게 된 이무기상좌를 구해주었다는 내용의 설화.
목차
정의
승려 보양(寶壤)이 비를 내린 죄로 죽게 된 이무기상좌를 구해주었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신이담(神異譚)에 속하며, 『삼국유사』 권4 의해(義解) 제5 보양이목조에 실려 있다. 경상북도 청도군과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구전되고 있다.

보양이 중국에서 돌아오다가 서해 용궁에 초청되어 불법을 전하고, 용왕의 아들 이목(璃目 : 이무기)을 데리고 왔다. 보양은 작갑(鵲岬)에 절을 세우고, 이목은 절 옆의 작은 못에 살면서 법화(法化)를 도왔다. 어느해 날이 가물어 이목이 비를 내리게 하였더니 천제가 월권했다고 이목을 죽이려 하였다.

스님은 이목을 감추고 천사(天使)에게 배나무[梨木]를 이목이라 하여, 배나무는 벼락을 맞고 죽게 되었다. 그뒤 이무기가 그 배나무를 살렸다는데, 보양이 살렸다고도 한다. 이 설화는 불승과 용자의 이야기로서 민간의 수신신앙(水神信仰)과 불교신앙이 습합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이목이란 ‘이무기’ 라는 동물을 가리키며 배나무와는 음이 같아서 혼동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청도군 운문사(雲門寺) 주변에 구전되고 있다. 그곳에서는 이무기가 보양을 따라왔다는 부분이 없고, 이무기가 달아나면서 화가 나 바위를 꼬리로 쳐서 갈라놓았다는 「억산바위 전설」이 전한다.

이 설화 다음에는 고려 태조가 산적이 있는 견성(犬城)을 치고자 그 계책을 보양에게 물었다. 이에 보양이 그 지명을 풀어서 이길 방도를 알려주었다는 「견성설화」가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집필자
서대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