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강집 ()

목차
관련 정보
봉강집 / 명심록
봉강집 / 명심록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만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만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23년 아들 중근(中瑾)이 편집, 간행하였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7수, 서(書) 23편, 권2에 잡저 2편, 서(序) 3편, 기(記) 2편, 제문 5편, 뇌문(誄文) 1편, 고유문(告由文) 2편, 광기(壙記)·전(傳) 각 1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사실적 묘사가 뛰어나고 서정성이 풍부한 「일월산행(日月山行)」·「송하신거(松下新居)」·「광석범주(廣石泛舟)」 등을 비롯하여 만시(輓詩)·차운시(次韻詩)가 주종을 이룬다. 서(書)는 주로 족형인 만인(晩寅)과 교우 유필영(柳必永)·허훈(許薰) 등에게 보낸 것으로, 성리학과 상제례(喪祭禮)의 의식 및 절차 등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잡저 중 「명심록(銘心錄)」은 일상생활에서 범하기 쉬운 과실을 경계하려는 의도에서 선현들의 명구를 채록한 것이다. 서(序)에는 그의 학문적 경향이 응집, 표출되어 있는데, 「중용요변서(中庸要辨序)」·「대학요변서(大學要辨序)」·「천형편서(踐形篇序)」 등이 있다.

전의 「이공전(李公傳)」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당시 권극상(權克常)과 함께 좌병사(左兵使) 허완(許完)의 휘하에 들어가 적과 싸우다가 29세의 젊은 나이로 전사한 이기욱(李起郁)의 충절을 기록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