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당 ()

목차
관련 정보
용인 한국민속촌 남부지방민가 봉당
용인 한국민속촌 남부지방민가 봉당
주생활
개념
주택 내부에 있으면서 마루나 온돌을 놓지 않고 바닥면을 흙이나 강회 · 백토 등을 깔아 만든 공간.
목차
정의
주택 내부에 있으면서 마루나 온돌을 놓지 않고 바닥면을 흙이나 강회 · 백토 등을 깔아 만든 공간.
내용

우리나라의 주택유형 중 주로 겹집(양통집)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홑집(외통집)에서도 볼 수 있다. 그 기능은 1차적으로 출입공간이며, 2차적으로는 각 방들의 연결통로이고, 3차적으로는 창고 같은 기능도 한다.

봉당은 우리나라 주택유형의 분포로 보아 겹집이 많은 함경도 · 강원도 · 경상도 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 위치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겹집의 중앙부 전면에 자리잡고 있다. 즉 주택 내부로 들어갈 때 출입문을 들어서면 바로 봉당이 되며, 이 봉당을 거쳐 좌우의 각 방과 내부 쪽으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 규모는 주택의 건물 평면과 비례하여 커지는 것이 보통이다. 즉 두겹집일 때 2칸이던 봉당이 세겹집이 될 때에는 3칸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규모가 커지면 한 칸이나 한 칸 반을 마루로 만들어 쓰기도 하였다. 이때 이러한 마루를 봉당마루라 불렀고, 출입문으로부터 세로로 길게 놓일 때와 가로로 길게 놓일 때, ㄱ자형으로 놓일 때 등의 예가 있다. 길게 가로나 세로로 놓일 경우 긴봉당이라 하며, ㄱ자형이면 ㄱ자형봉당이라 부른다.

겹집에서의 봉당은 그 기능과 위치로 보아 한대지방으로부터의 발생설이 유력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함경북도로부터 강원도를 거쳐 경상도 쪽으로 진행되었다. 지역분포로 보아서는 낭림산맥태백산맥을 잇는 동쪽 지역에 많다.

홑집에서의 봉당은 대부분 툇간에 마루를 깔지 않은 상태로 전면이 개방되고 있다. 이러한 주택유형은 우리나라의 서북부지방, 즉 평안도로부터 중남부를 거쳐 서남부지방에 널리 분포되고 있다. 홑집에서의 봉당은 주로 서민주택에 많다. 중류주택이 되면 ㄱ자형 · ㄷ자형 · ㅁ자형 등으로 주택평면이 확장된다.

봉당도 원래의 기능과 달리 문간이나 방과 방을 연결시켜주는 단순한 토방공간으로 변하여지며, 곳간(창고) 등으로 기능이 다변화된다. 특수한 예로는 봉당이 건물 뒤쪽, 즉 마루나 방의 뒤편에 위치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조선시대 주택건축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주남철, 서울대학교대학원, 1976)
「전통마을의 형성과 민가형식에 관한 연구」(홍순인, 홍익대학교대학원, 197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동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