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

국악
단체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문화회관 내에 있는 시립 관현악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문화회관 내에 있는 시립 관현악단.
설립목적

전통음악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시대에 맞는 창작음악을 개발하고, ‘해양문화도시 부산’의 예술문화를 대내외에 널리 알리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84년 5월 23일에 창단되어, 초대 지휘자는 이의경(1984∼1988)이었고, 1988년에는 현대식 공연장인 부산문화회관의 개관으로 수준급의 연습장과 공연장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제2대 지휘자 김영동(1989∼1992), 제3대 지휘자 김용만(1993∼1995)을 거쳐, 1996년에 제4대 지휘자 배양현이 취임하였다. 이후 제5, 6대 지휘자로 박호성이 취임하였으며, 현재 제7대 지휘자 김철호가 악단을 이끌고 있다.

기능 및 역할

매년 신년음악회를 시작으로 신춘음악회, 환경음악회를 개최하고 6회의 정기연주회와 특별연주회를 하고 있다. 2008년 현재 정기연주 총 129회, 특별연주회 1,150여 회를 실시하였다. 이밖에 찾아가는 시립예술단 공연 및 토요상설무대 등 국내외의 크고 작은 연주회와 중동, 아프리카, 일본, 베트남 등지에서 해외공연을 한 바 있다.

2004년에는 창단 20주년을 맞아 그 기념연주회를 우리나라 중견작곡가 초연곡들을 가지고 부산과 대전, 그리고 처음으로 서울에서 공연하였다. 2008년에는 부산문화회관 개관 20주년 기념으로 「세계민족음악페스티벌」을 비롯하여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연주회」, 「찾아가는 시립예술단」 등 50여회의 기획 및 특별 연주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러한 활동으로 지역문화 창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봉생문화상을 수상하였으며, 우리나라 시·도립관현악단 중 최초로 연주실황 음반을 출반하여 많은 호응을 얻은 바 있다.

현황

상임지휘자 아래 악장과 총무, 기획, 홍보, 악보, 악기 담당 등 스태프와 대금, 아쟁, 피리, 해금, 가야금, 거문고, 타악, 성악 등 8개 파트에 60여 명의 단원이 있다.

평소 공연장 찾기가 어려운 원거리 및 소외지역의 산업체, 기관, 단체 등을 직접 방문하여 연주회와 강좌를 가지며, 연주회 연습장면을 공개하여 우리음악 보급 및 저변 확대에 힘쓰고 있다. 또한 2003년부터 전국 규모의 「부산전국창작국악관현악축제」를 마련하여 우수한 창작 관현악곡들이 태어날 수 있는 새로운 모태로서 그 주역을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문예총감』(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한국음악사』(전인평, 현대음악출판사, 2000)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www.bsgugag.com)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