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언일부 ()

고전시가
문헌
조선 숙종 연간, 미상 인물의 한시문 · 시조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숙종 연간, 미상 인물의 한시문 · 시조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서(序)·발이 모두 없어 편자와 필사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내용은 소식(蘇軾)의 『적벽부(赤壁賦)』를 비롯, 많은 한시문을 수록하였는데, 뒤편에 『김해암가곡집서(金懈菴歌曲集序)』·『제해암가곡집후(題懈菴歌曲集後)』·『제선생집후(題先生集後)』가 모필체로 기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김해암가곡집서』는 1690년(숙종 16) 5월 19일에 강진(康津)에 사는 오이건(吳以健)이 쓴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김해암가곡집서』 바로 뒤에 김응정(金應鼎)을 흠모하는 오이건의 자작(自作) 시조 3수가 실려 있다.

『김해암가곡집서』에서 오이건은, “선생이 지은 가곡이 자못 잃은 것이 많아, 백분의 하나도 보존되는 것이 없으니 공의 5대손 이호(爾瑚)가 나머지를 수습해 가지고 나에게 교정하기를 부탁함에 내가 이미 그 청함을 중하게 여겼고, 또 선생을 추모해서 약간을 수집해 기록하고 친히 스스로 베껴서 『해암가곡집(懈菴歌曲集)』이라 이름하고, 아래에 두어 곡의 졸한 노래를 지어 경앙의 회포를 붙인다.”라고 썼다.

『제해암가곡집후』는 1707년(숙종 33) 10월 하순에 강진에 사는 오희겸(吳喜謙)이란 이가 썼다. 『제해암가곡집후』에서는 “또 가곡을 지은 것이 매우 많으므로 지금 다시 덧붙여 말할 필요는 없다. 그 가곡을 말하자면 높은 곡조로 화답할 사람이 적고 원대한 취미를 알 사람이 적으니 비록 사랑하는 자가 있다고 해도 바람에 날아가는 꽃이 눈에 기꺼운 것과 좋은 음악이 귀에 지나가는 데 불과하다.”고 써서 김응정이 높은 품격의 시조를 많이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아는 이 없음을 매우 애석해 하였다.

『제선생집후』는 1709년(숙종 35) 3월 하순에 강진에 사는 최정익(崔井翊)이 썼다. 내용 가운데 “다만 그 가곡은 아름답고도 높아서 성정에서 나왔으니 여러 사람은 다 숭상하거늘 자네의 의론이 여기에 미치지 않음은 어찌된 것인가. 대답하여 이르기를, 그 가곡은 완미하여 봄에 어버이를 사모하고 임금을 사랑하는 정성은 깊은 뜻이 있었고, 또 간혹 세상을 민망히 여기고 풍속을 오만하게 아는 뜻이 있으니 자연히 탄상하여 베풀지 않을 것을 깨닫지 못하겠다. 이것은 특히 일에 당하고 물건에 감동되어 그 회포를 붙여 쏟아놓은 것이니, 진실로 가곡은 곧 그 나머지 일이라는 것을 알겠다.”라고 쓴 대목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로써 최정익이 해암의 가곡과 함께 그의 사람됨을 높이 평가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던 김응정의 시조 작가로서의 면모를 뚜렷이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진동혁가(秦東赫家)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가곡을 남긴 해암 김응정』(양광식 편역, 강진 문사고전연구소, 2005)
「김응정 시조 연구」(진동혁, 『국어국문학』89, 1983)
「김해암가곡집서 등에 관하여」(진동혁, 『김일근박사화갑기념논문집』,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