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응평리 고분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돌방무덤. 판석조석실분.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돌방무덤. 판석조석실분.
내용

구릉의 남사면(南斜面)에 있는 판석조 돌방무덤[板石造石室墳]이다.

응평리는 초촌면 내의 추양리·연화리·초평리·소사리·송국리 등의 지역과 더불어 낮은 구릉과 평야로 이루어진 평원지대인데, 이러한 지형은 멀리 대전의 문화동·괴정동에서부터 금강을 따라 세종시의 일부지역과 논산시의 많은 낮은 구릉지역을 지나서 부여의 남부지방에까지 연결되고, 여기서 전라북도 익산지방에까지 연장된다.

응평리고분은 바로 이와같은 평야지대를 바라보고 있으며 가까이에는 금강의 지류 중 하나인 석성천(石城川)이 흐르고 있다.

1975년 11월에 우연히 발견되어 조사된 처녀분(處女墳)으로 조사 당시 묘실내에서 관정(棺釘)을 발견한 것 외에는 유물이 1점도 없었는데, 이는 판석조꺾임천장식[板石造平斜天障式]이 유행하던 당시의 백제는 불교의 영향으로 부장(副葬)하지 않는 풍습이 성행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천장의 형태는 벽석(壁石) 윗면에 1단의 장대석(長臺石)을 안쪽으로 기울어지게[內斜] 올려 놓고, 다시 그 위에 판석(板石)을 올려 놓아 단면(斷面)이 육각형이 되게 한 이른바 평사천장식이며, 묘실 바깥의 생토층(生土層)에는 너비 25㎝, 길이 10㎝의 샘를 파고 그 안에 자갈을 채워 넣음으로써 배수시설을 하였다.

참고문헌

『백제고분연구』(강인구, 일지사, 1977)
집필자
강인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