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교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빈교문집
빈교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지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지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연활자본. 1917년 종손 용윤(容潤)과 9세손 원재(元在)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어사제문(御賜祭文)과 권말에 5세손 행민(行敏)의 후지(後識)와 김잠(金潛)의 발문, 그리고 개간시참사제손록(開刊時參事諸孫錄) 등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가(歌) 3편, 사(詞) 2편, 시 420여수, 권3에 책(策) 1편, 전문(箋文) 4편, 소(疏) 1편, 서(書) 27편, 서(序)·기(記)·상량문 각 1편, 제문 7편, 권4는 부록으로 진사차(陳事箚)·행장·제문·만시·축문과 저자의 형인 진주목사 지형(之馨)을 대상으로 한수술(韓洙述)이 찬(撰)한 행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가(歌)에는 유려한 필치가 돋보이는 「국화가(菊花歌)」·「쌍산가(雙山歌)」 등이 있다.

시에는 시대적 현실을 소재로 하여 지은 「문적병범경(聞賊兵犯京)」·「문서변장사개입산성(聞西邊壯士皆入山城)」·「기민탄(飢民歎)」·「관남북병(觀南北兵)」 등과 장편으로 구성된 「후거재여상(後車載呂尙)」·「삼전정천산(三箭定天山)」, 죽은 아내를 생각하며 지은 「서실(書室)」 등 다양한 제재의 시가 고루 실려 있다.

책의 「역년책(歷年策)」은 1626년(인조 4) 문과에 급제한 글로, 국가의 유지기간을 영구하게 하는 방법에 대하여 광범위한 인용을 통하여 치밀하게 논리를 전개하였다.

그밖에 1665년(현종 6) 종성부사에 재직할 때 지어 올린 「왕세자책봉하전(王世子冊封賀箋)」과 「대전환후하전(大殿患後賀箋)」, 그리고 1671년에 올린 상소문인 「사한성부우윤소(辭漢城府右尹疏)」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