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나 잡가에서 나타나는 사랑가는 지방마다 여러 가지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음악의 형식은 대체로 장절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후렴구에 ‘내 사랑아’라는 말이 나온다.
황해도의 「난봉가」, 함경도의 「어랑타령」, 0의 「등가타령」, 경기도의 「한강수타령」, 제주도 성읍지방의 「사랑가」 등이 여기에 속한다.
특히, 제주도 성읍 지방에서 전승되고 있는 「사랑가」는 세마치 장단에 레(re)·미(mi)·솔(sol)·라(la)·도(do)의 선율을 가지고 있으며, 제주도 향가락이 풍기는 노래조를 가지고 있는데 음악의 구조로 보아 육지에서 불리는 잡가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