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가 (사랑)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민요나 잡가에서 남녀의 사랑을 그린 노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민요나 잡가에서 남녀의 사랑을 그린 노래.
내용

민요나 잡가에서 나타나는 사랑가는 지방마다 여러 가지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음악의 형식은 대체로 장절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후렴구에 ‘내 사랑아’라는 말이 나온다.

황해도의 「난봉가」, 함경도의 「어랑타령」, 0의 「등가타령」, 경기도의 「한강수타령」, 제주도 성읍지방의 「사랑가」 등이 여기에 속한다.

특히, 제주도 성읍 지방에서 전승되고 있는 「사랑가」는 세마치 장단에 레(re)·미(mi)·솔(sol)·라(la)·도(do)의 선율을 가지고 있으며, 제주도 향가락이 풍기는 노래조를 가지고 있는데 음악의 구조로 보아 육지에서 불리는 잡가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판소리 다섯 마당의 음반 및 해설집』(한국브리태니카, 1982)
『향사 박귀희 가야금병창곡집』(박귀희, 세광출판사, 197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주도편-』(이보형, 문화재관리국, 1974)
『조선창극사』(정노식, 조선일보사출판부, 194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