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수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의 병종인 삼수군(三手軍) 가운데 장병기(長兵器)인 궁시(弓矢)를 잡고 싸우던 군사조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병종인 삼수군(三手軍) 가운데 장병기(長兵器)인 궁시(弓矢)를 잡고 싸우던 군사조직.
내용

임진왜란을 계기로 종래의 궁시 위주의 전투로부터 새로 등장한 조총 등 화포 중심의 전투로 전쟁양상이 바뀜에 따라 궁시의 가치는 크게 하락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조총을 한번 쏘는 동안 궁시는 여러 발을 쏠 수 있고, 비가 올 경우에는 조총의 사용에 많은 난점이 있어서 조총을 보완하는 무기로서 궁시의 존재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

조선 후기의 군사가 삼수(三手)·속오제(束伍制)에 의하여 새로이 편제, 훈련되는 과정에서 중앙의 훈련도감 등의 삼수군 중 사수가 가장 늦게나마 편성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반면에 지방의 속오군에서는 삼수군 중 가장 손쉽게 충원할 수 있었던 사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사수의 편제는 1대(隊)에 대총(隊總) 1인, 사수 10인, 화병(火兵) 1인으로 편성되었고, 포수를 전면에, 살수(殺手)를 후면에 두고 훈련 및 실전에 임하도록 하였다. 궁시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 장기로 전수되어왔던 까닭에 포수나 살수에 비하여 기예의 훈련이 덜 강조되었다.

그러나 삼국시대 이래의 성곽에 의지하는 외적 방어전술이 조선 후기에도 유지되는 한편, 철전(鐵箭)·편전(片箭)·유엽전(柳葉箭) 등 여러 종목의 사예(射藝)가 무과와 군사 시취(試取)에 주요과목으로 존속되어 여전히 다른 무예보다 사예가 널리 보급, 계승되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진관관병편오책(鎭管官兵編伍冊)』
『조선시대군제연구(朝鮮時代軍制硏究)』(차문섭, 단국대학교출판부,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