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육시기를 달리하는 작물을 어느 기간 같은 토지에 생육시키는 것이므로 여름작물과 겨울작물이 조합되는 것이 보통이며 두 작물의 수확기는 다르다. 이 방법에 있어서 이미 생육하고 있는 작물을 상작(上作) 또는 전작(前作)이라 하고 나중 이랑사이에다 파종하는 작물을 하작(下作) 또는 후작(後作)이라고도 한다.
사이짓기[間作]의 상작은 대체로 겨울작물이며 이것에 여름작물이 사이짓기로 재배된다. 사이짓기법은 토지의 이용상 매우 필요한 방법이며 이에 의하여 2년 3작법 또는 1년 2작법이 비로소 실시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 나라에서의 사이짓기에 대한 옛 기록은 1429년(세종 11)에 편찬된 ≪농사직설≫에 사이짓기에 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즉, “밭이 적은 사람은 보리나 밀이 출수하기 전에 두 이랑사이를 얕게 갈고 콩을 파종하되 보리나 밀을 수확한 후 다시 보리그루를 갈아 콩을 배토해 주라(田少兩麥未穗時 淺耕兩畝間種以大豆, 收兩麥訖 又耕麥根 以覆豆根).”고 되어 있어 15세기에 이미 사이짓기 모습을 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짓기는 맥류와 콩의 1년 2작(사이짓기)식 작부방식을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사이짓기 작물인 콩이 먼저 충분한 생육기간을 거친 뒤에 보다 많은 수량을 기대하면서 가을 작물인 보리파종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자는 작부방식이다.
또 ≪농사직설≫에서는 “콩간작으로 가을보리, 보리간작으로 조를 재배하는 것도 모두 이 방법을 쓴다(大豆田間種秋麥 麥田間種 粟皆同此法).”고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가 전후작 사이에 생육시기가 일시적으로 경합되기는 하나 작부방식면에서는 근본적으로 1년 2작식이다.
예외인 경우는 1665년(현종 6)에 편찬된 ≪농가집성≫의 종목화법(種木花法)에 생육시기가 장기간 경합되어 거의 섞어짓기에 가까운 사이짓기법이 있다. 당시 옥천이나 양산사람들이 관행재배하던 목화재배는 사이짓기로 참깨 및 청태(靑太:푸른대콩)를 재배함으로써 생육시기가 사이짓기 작물간에 오랫동안 겹치는 경우도 있었다.
최근 관행되고 있는 사이짓기의 예를 들면, 맥류에 콩 또는 팥, 맥류에 조, 맥류에 고구마, 맥류에 밭벼, 맥류에 목화, 맥류에 청예대두, 맥류에 채소류, 경우에 따라 여름 작물에 맥작(콩에 보리, 무에 보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