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짓기

목차
관련 정보
사이짓기
사이짓기
산업
개념
한 종류의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이랑 사이 또는 포기 사이에다 한정된 기간 다른 작물을 심는 농법. 간작.
이칭
이칭
간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 종류의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이랑 사이 또는 포기 사이에다 한정된 기간 다른 작물을 심는 농법. 간작.
내용

생육시기를 달리하는 작물을 어느 기간 같은 토지에 생육시키는 것이므로 여름작물과 겨울작물이 조합되는 것이 보통이며 두 작물의 수확기는 다르다. 이 방법에 있어서 이미 생육하고 있는 작물을 상작(上作) 또는 전작(前作)이라 하고 나중 이랑사이에다 파종하는 작물을 하작(下作) 또는 후작(後作)이라고도 한다.

사이짓기[間作]의 상작은 대체로 겨울작물이며 이것에 여름작물이 사이짓기로 재배된다. 사이짓기법은 토지의 이용상 매우 필요한 방법이며 이에 의하여 2년 3작법 또는 1년 2작법이 비로소 실시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 나라에서의 사이짓기에 대한 옛 기록은 1429년(세종 11)에 편찬된 ≪농사직설≫에 사이짓기에 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즉, “밭이 적은 사람은 보리나 밀이 출수하기 전에 두 이랑사이를 얕게 갈고 콩을 파종하되 보리나 밀을 수확한 후 다시 보리그루를 갈아 콩을 배토해 주라(田少兩麥未穗時 淺耕兩畝間種以大豆, 收兩麥訖 又耕麥根 以覆豆根).”고 되어 있어 15세기에 이미 사이짓기 모습을 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짓기는 맥류와 콩의 1년 2작(사이짓기)식 작부방식을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사이짓기 작물인 콩이 먼저 충분한 생육기간을 거친 뒤에 보다 많은 수량을 기대하면서 가을 작물인 보리파종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자는 작부방식이다.

또 ≪농사직설≫에서는 “콩간작으로 가을보리, 보리간작으로 조를 재배하는 것도 모두 이 방법을 쓴다(大豆田間種秋麥 麥田間種 粟皆同此法).”고 하였는데 이들은 모두가 전후작 사이에 생육시기가 일시적으로 경합되기는 하나 작부방식면에서는 근본적으로 1년 2작식이다.

예외인 경우는 1665년(현종 6)에 편찬된 ≪농가집성≫의 종목화법(種木花法)에 생육시기가 장기간 경합되어 거의 섞어짓기에 가까운 사이짓기법이 있다. 당시 옥천이나 양산사람들이 관행재배하던 목화재배는 사이짓기로 참깨 및 청태(靑太:푸른대콩)를 재배함으로써 생육시기가 사이짓기 작물간에 오랫동안 겹치는 경우도 있었다.

최근 관행되고 있는 사이짓기의 예를 들면, 맥류에 콩 또는 팥, 맥류에 조, 맥류에 고구마, 맥류에 밭벼, 맥류에 목화, 맥류에 청예대두, 맥류에 채소류, 경우에 따라 여름 작물에 맥작(콩에 보리, 무에 보리) 등이 있다.

참고문헌

『재배학범론』(이은웅 외, 향문사, 1963)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