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射場)이라고도 한다. 관설사정(官設射亭)과 민간사정(民間射亭)이 있다. 1091년(고려 선종 8) 호부남랑(戶部南廊)에 사장이 설치되어 군졸과 일반 백성들이 습사(習射: 활쏘기를 익히는 것)할 수 있게 하였는데, 이것이 국가가 도성 내 활터를 설립한 시초이다.
조선 태조는 서울을 한양으로 옮기고 도성 동편에 교장(敎場)인 훈련원을 설립하였는데, 태종은 이곳에 사청(射廳)을 세우고 무과의 시험장소로 정하였으며, 동시에 무인과 군졸이 습사할 수 있게 하여 최초의 관설사장이 되었다. 궁중의 관설사장으로는 창경궁 후원의 춘당대(春塘臺)를 들 수 있는데, 이곳에서 열무(閱武: 임금이 몸소 하는 사열)와 시사(試射)를 행하거나 또는 왕이 직접 친사(親射)하였다.
효종 때는 창경궁내사복(昌慶宮內司僕)에 사정을 특설하여 내승(內乘: 조선시대 말과 수레를 맡아보던 내사복의 말단 벼슬)과 별군직(別軍職: 조선시대 임금의 호위를 맡은 武職) 등의 관리가 습사하도록 하였고, 1868년(고종 5) 경복궁 내에 경무대(景武臺)를 설치하여 문무과시(文武科試)와 열무를 행하였다.
지방의 사장으로는 영(營) · 주(州) · 부(府) · 목(牧)의 소재지에 장대(將臺) · 연무대(鍊武臺) · 관덕정(觀德亭) 등의 관설사정이 있어 연병강무(練兵講武) 이외 장교와 군민(軍民)이 습사를 행하였다. 민간사정은 임진왜란 이후 선조 때 백성들의 상무심(尙武心)을 진흥시키기 위하여 경복궁 동장(東墻) 안에 오운정(五雲亭)을 세우고 이것을 개방하여 백성들의 습사를 장려한 것이 그 시초이고, 그 뒤 인조 · 효종 · 현종 때 무과에 응시하기 위하여 여러 곳에 세워졌다.
그 중 도성 내외에 있는 사정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윗대[上村: 서울 성내의 북서쪽 지역]의 백호정(白虎亭), 아랫대[下村: 동남쪽 지역]의 석호정(石虎亭), 서대문 밖의 노지사정(盧知射亭), 그리고 강교(江郊: 한강주위 지역)의 풍벽정(楓碧亭) 등이 있었다. 이 네 개의 사정 이외 도성 내의 남촌(南村)에는 상선대(上仙臺) · 삼문교(三門橋) · 세송정(細松亭) · 왜장대(倭將臺) · 청룡정(靑龍亭) · 읍배당(揖拜堂)이 있었고, 북촌에는 일가정(一可亭) · 흥무정(興武亭) · 취운정(翠雲亭)이 있었다.
그리고 윗대에 있었던 백호정의 뒤를 이은 민간사정으로 풍소정(風嘯亭) · 등룡정(登龍亭) · 등과정(登科亭) · 운룡정(雲龍亭) · 쌍벽정(雙碧亭) · 대송정(大松亭) · 동락정(同樂亭)이 있었는데 쌍벽정과 동락정을 제외한 5개 사정을 윗대 오터[五亭]라 하였고, 아랫대 네터[四亭]로는 석호정 · 좌룡정(左龍亭) · 화룡정(華龍亭) · 이화정(梨花亭)이 있었다.
이 밖에 동촌(東村: 東小門內)에는 율목정(栗木亭) · 사반정(思泮亭)이 있었는데, 모두 도성 안에 있었던 사정이다. 도성 밖 민간사정으로는 동대문 밖의 영풍정(暎楓亭), 새문[新門] 밖의 서호정(西虎亭), 서소문(西小門) 밖의 태호정(兌虎亭), 남대문 밖의 청학정(靑鶴亭), 수구문(水口門) 밖의 무학정(舞鶴亭),창의문(彰義門: 서울 사소문의 하나로 종로구 창의동) 밖의 월천정(月川亭) 등 많은 사정들이 있었다.
이상의 사정들은 편사(便射: 사정끼리의 시합)가 번성하던 시대의 사정들이며 사정의 흥망이 없지는 않았으나 그래도 큰 변동 없이 이어져 내려오다가, 갑오경장 이후 구습이 소멸됨에 따라 사풍(射風)이 일시 일소되었다. 그러다가 1899년 풍소정의 중흥으로 황학정(黃鶴亭)이 설립되었고 그 다음에 석호정이 남촌에, 남덕정(南德亭)이 한강에, 서호정이 서문 밖에, 일가정이 북촌에, 화수정(華水亭)이 마포에, 무학정이 광희문 밖에서 부흥되었다.
지방에서는 고양에 숭무정(崇武亭)이 설립되었고, 개성에 관덕정 · 군자정(君子亭) · 호정(虎亭) · 명월정(明月亭) · 반구정(反求亭) · 보선정(步仙亭) · 채빈정(採蘋亭) · 구군정(九君亭)의 8정이, 인천에 무덕정(武德亭), 양주에 승학정(乘鶴亭), 수원에 연무대(鍊武臺) 등의 사정이 세워졌다.
그 뒤 일제강점기, 8·15광복, 6·25전쟁과 같은 격랑의 세월을 거치면서 많은 사정이 없어졌지만, 서울의 황학정 · 석호정, 전주의 천양정(穿楊亭), 인천의 무덕정(武德亭), 수원의 연무정(鍊武亭) 등은 아직도 이어져 오고 있으며, 새로운 사정들이 생겨 대한궁도협회에 등록된 사정은 1999년 말 현재 300개에 달하고 있다.
1999년 말 현재 서울특별시에는 종로구 사직동에 있는 황학정과 중구 장충동에 있는 석호정을 비롯한 10개의 사정, 부산광역시에는 구덕정 등 5개의 사정, 대구광역시에는 관덕정 · 경조정의 2개 사정, 인천광역시에는 무덕정 등 9개 사정, 광주광역시에는 관덕정 등 4개 사정, 대전광역시에는 대덕정 등 4개 사정, 울산광역시에는 만하정 등 7개 사정이 있다.
그리고 제주도에는 한라정을 비롯한 6개 사정, 경기도에는 수원시의 연무정 등 61개 사정, 충청남도에는 26개 사정, 충청북도에는 청주시의 우암정 등 16개 사정, 강원특별자치도에는 원주시의 학봉정 등 27개 사정, 전라남도에는 여수시의 충무정을 비롯한 31개 사정, 전북특별자치도에는 전주시의 천양정과 군산시의 진남정 등 17개 사정, 경상남도에는 창원시의 용마정을 비롯하여 48개 사정, 경상북도에는 경주시의 호림정, 김천시의 용호정 등 21개의 사정이 있다.